한성간 기자 skhan@yna.co.kr (서울=연합뉴스)
|
남성→여성 성전환 생물학적 원인 발견 |
성전환이 단순한 생활방식의 선택이 아닌 생물학적 원인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나시 대학 의학연구소의 빈센트 할리 박사는 남성에서 여성으로의 성전환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안드로겐수용체 유전자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영국의 로이터통신과 BBC 인터넷판이 26일 보도했다.
할리 박사는 이 유전자의 장형(長形 : long version)을 가진 남성은 태아의 뇌발달 과정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신호전달이 약해 뇌의 남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한층 더 여성적인 뇌를 갖게 돼 여성의 성징을 띠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들의 일부 뇌구조가 여성에 가깝다는 앞서 발표된 한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할리 박사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한 112명과 보통남성 258명을 대상으로 안드로겐수용체, 에스트로겐수용체, 테스토스테론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시키는 효소 등 성징의 발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3가지 유전자의 DNA를 비교분석한 결과 성전환 그룹은 55.4%, 대조군은 47.6%가 안드로겐수용체의 장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나머지 두 유전자는 두 그룹 사이에 별 차이가 없었다.
안드로겐수용체 유전자의 이러한 차이가 태아발달 과정에서 테스토스테론의 활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뇌가 덜 남성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할리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생물정신의학학회가 발행하는 '생물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한성간 기자 skh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skhan@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