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김대진 교수팀 `모션증폭' 기술 개발
실험 88% 성공…행동 인지 기술도 개발 중
공상과학영화처럼 기계가 사람의 표정을 통해 마음까지 읽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포스텍(포항공과대)은 컴퓨터공학과 김대진 교수팀이 사람의 미세한 표정을 과장된 표정으로 변환할 수 있는 모션증폭(Motion Magnification) 기술을 이용해 기계가 사람의 미세한 표정까지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김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최근 영국의 대중과학전문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서 "사람이 아무리 미세한 표정을 짓더라도 기계가 얼굴 표정을 읽어낼 수 있는 날이 곧 온다"는 내용으로 소개됐다.
이 기술은 현재 디지털카메라 등에 활용되고 있는 '스마일샷(웃으면 자동으로 사진이 촬영되는 기능)' 기능과 비슷하지만, 스마일샷은 극단적으로 과정된 표정만 인식한다는 점이 다르다.
김 교수팀은 이 기술로 20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27개 특징점의 표정 변화에 따른 움직임을 이용해 표정을 읽어내는 실험을 실시한 결과 88%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안면 검출.인식과 표정 인식기술은 삼성전자로 기술이 이전돼 옴니아폰, 햅틱폰 등 휴대전화와 디지털카메라 등에 탑재돼 출시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사람의 표정 뿐 아니라 손짓, 뇌 활동을 분석해 행동이나 감정을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는 '휴먼 센싱' 기술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생체 인식, 스마트 홈 제어, 재활.보건의료 서비스, 인간-기계 상호작용, 비서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의 움직임과 행동의 의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활용할 경우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 관계자는 "연구팀이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휴먼센싱 개발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로봇비전 분야에 권위있는 미국 카네기멜론대 로보틱스 연구소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임상현 기자 shlim@yna.co.kr (포항=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