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카메라에 ‘생태계’를 담자!
|
과학향기
최근 큰마음 먹고 최신 DSLR 카메라를 구입한 직장인 김모 씨. 평소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았을 뿐 아니라 친구들 대부분이 DSLR 카메라를 구입한 터라 멋진 사진을 찍어서 자랑하려는 의욕이 대단하다. 그런데 사진을 찍다 보니 김 씨를 당황하게 만드는 고민거리가 한 둘이 아니다. 무엇보다 큰 고민거리는 카메라를 사고 보니 막상 찍을 거리가 안 보인다는 것. 일상에서 마주치는 풍경이나 정물들을 찍어보니 밋밋한 사진만 나올 뿐 주제도 소재도 명확하지 않아 영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런 사진을 사진동호회에 올리려니 부끄럽기도 하고 답답하다. 어떻게 무엇을 찍어야 할지 통 감이 안 오는데…. 김씨 같은 사람에게 추천할 만한 촬영 대상이 있으니 바로 가을철의 자연과 생명이다. 사실 가을은 아마추어 사진가들에게 촬영하기 좋은 계절이다. 겨울을 대비해 생태계가 다양한 변신을 하기 때문이다. 뷰파인더를 통해 몰랐던 생물의 생김새를 관찰하다 보면 평소 관심이 없던 생태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런데 생태사진 찍기가 생각보다 녹록치 않다. 종마다 다른 생물의 습성이나 행태를 알아야 하고, 오랜 촬영 시간을 견딜 수 있는 인내와 체력도 필요하다. 촬영 기술이나 장비 역시 다른 사진 분야에 비해 높은 수준을 요구한다. 곤충 같은 작은 생명체를 크게 찍기 위해서는 접사를 할 수 있는 매크로 렌즈가 필요하며, 새처럼 접근이 힘든 생명체를 찍을 때는 멀리서도 촬영이 가능한 망원렌즈가 필요하다.시시각각 변하는 기후와 뱀, 독충 등 위협요소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옷과 신발도 갖춰야 하는 생태사진이야말로 수많은 사진의 영역 중 가장 찍기 힘든 분야일 것이다. 그런 만큼 좋은 생태 사진을 찍었을 때의 성취감도 크다. 더 추워지기 전에 야외로 나가 자연과의 조우를 즐겨보는 건 어떨까! 여기 생태사진 잘 찍는 5가지 노하우를 공개한다. TIP 1. 삼각대를 꼭 지참하자! 삼각대는 사진 촬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변장비 중 하나다. 삼각대를 쓰는 이유는 그냥 손으로 사진기를 잡고 사진을 찍을 때보다 흔들림이 적기 때문이다. 자주 움직이는 곤충, 바람에 흔들리는 꽃, 멀리 있는 새를 찍을 때 삼각대 없이 초점이 잘 맞은 사진을 찍기란 불가능하다. 비용이나 무게 때문에 삼각대 구입이 부담스럽다면 모래주머니나 콩주머니를 만들어 사진기를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활용해도 된다. 단 초점거리가 긴 망원렌즈를 사용할 때 삼각대는 필수다.
|
삼각대는 안정된 촬영을 위해 필수적인 장비다. 가능하면 짓조나 맨프로토 등 튼튼한 삼각대를 쓰는 게 좋다.
|
|
일출과 물안개를 배경으로 왜가리의 실루엣을 찍은 모습. 자연의 신비를 부각시킬 수 있다.
|
|
배경이 어두울수록 피사체는 부각된다. 꿀벌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어두운 배경을 활용한 예.
|
|
작은 곤충을 조리개를 지나치게 열고 찍으면 눈이나 특정부위에만 초점이 맞게 된다. 4.5f 이상의 조리개값을 확보하는 게 좋다. 위 파리매 사진은 심도 확보에 실패한 사례.
|
|
저렴한 콤팩트카메라의 접사기능으로도 생태사진을 찍기 무리없다. 사진은 콤팩트카메라 인 니콘 쿨픽스5700의 접사기능을 이용해 찍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