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드컵 16강 해법, 첨단과학에서 찾았다!
|
과학향기
#1. 2010년 5월 12일, 파주 대표팀트레이닝센터(NFC) 그라운드는 훈련 전부터 분주했다. 선수들은 코칭스태프의 지시사항을 귀 기울여 듣더니, X밴드 모양의 초경량 조끼를 입었다. 그라운드 주변에는 12개의 무선 수신기가 라인을 따라 설치됐다. 가로 10cm, 세로 20cm 크기인 수신기 베이스스테이션(BS)이 4m 높이에 달려 있었다. 한 쪽에는 흰색 텐트의 지휘본부도 마련됐다. 대한축구협회 기술교육국이 선수들의 경기력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치한 ‘무선 경기력측정시스템’이다. #2. NFC 숙소 4층 휴게실은 코칭스태프까지 30명이 들어가도 넉넉한 49㎡(약 15평)이다. 이 공간 한쪽에 낯선 기계가 있었으니, 네덜란드 비캣사의 ‘고지대 트레이너’다. 이 기계는 방 안의 산소를 빼내 고지대에 있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다. 우리나라 축구 국가대표 선수들은 한국을 떠나기 전까지 ‘산소방’을 사랑방처럼 이용했다. 2010년 6월 11일, 드디어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이 개막한다. 원정 첫 16강을 목표로 한 우리나라 축구대표팀은 ‘반드시 승리하겠다’는 각오로 똘똘 뭉쳤다. 이들의 투혼에 첨단과학이 더해졌으니 2002년의 기적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태극전사들이 남아공 월드컵을 위해 사용한 첨단 훈련을 살짝 들여다봤다. 태극전사의 훈련을 도와준 첫 번째 장비는 무선 경기력측정시스템으로 일종의 선수 위치추적 장치다. 선수들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V자 모양의 계측기를 가슴에 달고 훈련하며, 여기서 나온 심장박동 정보와 위치정보가 무선으로 수신기에 전달된다.이 시스템의 원리는 ‘지역위치측정(Local Position Measurement)’으로 해석되는 LPM기술이다. 수신기는 선수의 이동거리와 심박수 변화양상을 측정해 메인컴퓨터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선수의 속도, 활동시간, 회복능력과 동선 등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속도와 가속, 움직임의 방향 등이 0.001초 단위로 기록되므로 아주 사소한 걸음까지도 분석이 가능한 셈이다. 이전까지 대표팀 선수의 체력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했던 장비는 가슴에 달았던 고무밴드형 심박측정 장치다. 이 장비는 훈련이 끝난 뒤 장비를 수거해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반면 이번에 도입한 시스템은 선수들의 움직임과 속도, 심장박동수, 활동시간, 회복능력 수치 등을 바로바로 점검할 수 있다. 코칭스태프가 휴대용단말기를 갖고 선수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 게다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박주영 선수의 가슴에 X자 밴드가 보인다. 여기에 장착된 수신 기로 선수의 이동거리와 심박수 변화양상, 속도, 활동시간, 회복 능력, 동선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진제공:서울신문
|
|
산소방에 설치된 고지대 트레이너 장비의 모습. 에어컨을 조작하듯 버튼을 누르면 산소량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어 해발 1300~3000m에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사진제공 : 서울신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