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뻐꾸기의 ‘남다른’ 출산․육아 전략!
|
과학향기
안녕하세요, 생생 동물 라이브 청취자 여러분! 뻐꾹~ 뻐꾹~ 청아하게 울리는 이 목소리의 주인공이 바로 오늘 한낮의 데이트 초대손님입니다. 바로 ‘뻐꾸기’지요. 뻐꾸기들은 남다른 출산과 육아 전략을 가진 새로 유명한데요. 최근 전 지구적으로 출산율 저하, 멸종 동물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지요. 뻐꾸기의 독특한 육아 방식에 혹 해답은 없을지 들어보겠습니다. 진행자 : 뻐꾸기 씨, 안녕하세요. 이제 곧 출산을 앞두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출산 후 알을 품을 둥지 준비는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요즘 둥지 지을 곳 구하기도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만…. 뻐꾸기 : 아이, 참 쑥스럽네요. 동물세계를 아시는 분은 다 아시다시피 저희 뻐꾸기들은 둥지를 틀지 않습니다. 전문용어로는 육아기생, 부화기생이라고 하죠. 흔히들 ‘탁란’이라고 하는데, 들어 보셨나요? 진행자 : 아, 네. 탁란(托卵)이라면 다른 새에게 알을 맡긴다는 얘기인가요? 뻐꾸기 : 그렇습니다. 저희 뻐꾸기들은 때까치, 알락할미새, 흔히 뱁새라고 하는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둥지에 알을 낳고 부화되면 그 새들이 알을 키워주도록 하고 있습니다. 여기 한국에서는 주로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둥지를 이용하고 있지요. 알은 내가 낳고, 키워주는 건 전적으로 둥지의 주인인 계모에게 맡기는 식입니다. 진행자 : 인간이든 동물이든 자기 새끼 키우기도 벅찬 현실인데,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순순히 알을 받아들여 줍니까?뻐꾸기 : 호호~ 물론 붉은머리오목눈이가 모르게 하는 일이죠. 수컷이 망을 보다가 붉은머리오목눈이가 둥지를 비운 틈을 타 얼른 둥지 속으로 날아들어 알을 낳지요. 몸을 흔들어 알을 낳는 데는 10초도 걸리지 않아요. 보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 붉은눈이오목눈이의 알 하나를 물고 나옵니다. 진행자 :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알이 뒤바뀐 것을 눈치채지 못할까요? 아무리 ‘새머리’라지만 알의 색이나 모양, 크기를 보고 금방 눈치챌 것 같습니다만…. 뻐꾸기 : 물론 눈치챌 가능성도 있지요. 하지만 저희 뻐꾸기들도 바보는 아니니까요. 알의 모양과 색깔이 비슷한 새의 둥지에 알을 낳습니다. 사실 저희 뻐꾸기들은 같은 뻐꾸기라도 탁란하는 새 둥지에 따라 다른 알을 낳기도 합니다. 여기 한국에서는 붉은머리오목눈이와 비슷한 파란색 알을 낳지만, 개개비 둥지에 탁란을 하는 일본 서식 뻐꾸기의 경우는 개개비 알과 비슷하게 흰 바탕에 검은색 반점이 있는 알을 낳지요. 진행자 : 아, 정말 탁월한 전략이군요. 하지만, 알에서 깨어나면 아직 눈도 못 뜨는 어린 새끼인데, 혼자 다른 새의 둥지에 두고 나오는 건 잔인하지 않나요? 어미 새가 눈감아 준다고 해도 다른 새끼들이 눈치채고 힘을 모아 해칠 수도 있을 테고요. 뻐꾸기 : 사자는 새끼를 강하게 키우기 위해 절벽에서 던져 살아남는 자식만 키운다고 했던가요. 저는 우리 뻐꾸기들의 핏속에 흐르는 강인한 생존 본능을 믿습니다. 저 역시 남의 둥지에서 이렇게 자라났으니, 제 자식도 당연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제 어린 시절을 돌아보면 살기 위해 안 한 짓이 없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잔인했구나 하고 몸서리가 쳐질 정도지요. 진행자 : 어떤 일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얘기해주실 수 있을까요? 뻐꾸기 : 저처럼 제 어머니도 저를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둥지에서 낳고 날아가셨죠. 저는 다행히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진짜 알보다 빨리 부화했습니다. 진행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아직 눈도 뜨지 못한 상태였지만, 저는 있는 힘을 다해 옆에 있는 알들을 둥지 밖으로 밀어냈습니다. 둥지에는 3개의 알이 있었는데, 저는 그 중 1개만을 없앨 수 있었죠. 나머지 2개의 알은 부화에 성공했고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시겠지만 저희 뻐꾸기는 붉은머리오목눈이보다 체구가 훨씬 큽니다. 다 자란 상태에서는 몸집이 배 이상이지요. 당연히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새끼보다 많이 먹어야 이렇게 자랄 수가 있습니다. 먹이를 더 얻어먹기 위해 더 크게 울며 어미 새를 재촉했습니다. 때로는 우리 새들을 잡아먹는 적을 불러올 정도로 크게 울어 댔지요. 그 정도 위험은 감수해야 어미 새가 제 입에 더 많은 먹이를 넣어줄 테니까요.
|
오목눈이가 제 몸집보다 두 배 이상 큰 뻐꾸기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고 있다. 사진 제공 : 동아일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