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5.18 08:06 수정 : 2012.05.18 08:06

아리랑3호 발사

18일 새벽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일본의 H2A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아리랑 3호의 발사 대행을 맡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한국의 아리랑 3호가 이날 새벽 1시55분3초 필리핀 남동부 해상(북위 2.0591, 동경 129.189)의 676.35㎞ 상공에서 함께 실려 있는 4개 위성 가운데 가장 먼저 H2A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고 밝혔다.

아리랑 3호는 또 2시20분께 남극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발사 뒤 1시간29분 뒤인 3시9분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 두번째 교신을 시도한다.

이규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홍보실장은 “당초 676㎞ 고도에서 분리되기로 했지만 오차범위 1㎞ 이내에 있어 정상적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리랑 3호는 애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1시39분 일본 규슈 다네가시마우주센터에서 일본의 인공위성 ‘GCOM-W1(시주쿠)’와 소형실증위성4호(SDS-4), ‘호류 2호’와 함께 H2A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아리랑 3호는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태양을 향해 자세를 잡은 뒤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펼치게 된다. 위성의 정상 작동을 좌우하는 태양전지판이 제대로 펼쳐졌는지 여부는 이륙 뒤1시간 40분 뒤인 새벽 3시20분께 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서 확인될 예정이다.

다네가시마우주센터(일본 규슈)/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