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리눅스 시범사업 실패할 것”
한국마이크로소프트(한국MS) 유재성 사장은 9일 한국MS의 연간 투자비를 40% 가량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 사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시작된 MS 2006년 회계연도에서 작년보다 투자비는 40% 가량, 매출액은 약 10% 가량 늘리기로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유 사장은 "사장취임 이후 한국이 모바일 등 새 사업 영역에서 MS의 전략적 글로벌 협력사들을 많이 갖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을 MS 본사에 많이 어필했다"며 "그 결과 추가 투자를 이끌어냈고 본사에 한국 전담 기구도 생겼다"고 설명했다. 유 사장은 "늘어난 투자비의 대부분을 인력확충에 투입해 올해 50명∼70명 정도 신규채용을 할 생각이며 협력사 지원과 마케팅 비용 등에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 2005년 회계연도에서 한국MS 사업이 평균 15% 이상, 20%까지 성장하는 괜찮은 성과를 냈다고 덧붙였다. 유 사장은 "앞으로 국내에서 MS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브랜드 호감도가 매우 중요하며 '세계적으로 성공한 존중받는 회사'일 뿐 아니라 '고객들이 좋아하는 회사'로서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데도 신경을 쓰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리눅스 공개 소프트웨어(SW) 육성 정책에 대해 유 사장은 "리눅스가 하드웨어 지원, 응용프로그램, 개발자 등 산업으로서 발전할 전반적 환경이 안 갖춰져 있는데다 비용마저 MS 제품보다 비싸다"며 "정부의 리눅스 시범사업 등 인위적 지원정책은 실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사장은 "하반기 데이터베이스와 개발툴, 오피스, SQL 서버 차기판 등 신제품을 속속 내놓고 대규모 마케팅을 벌일 계획"이라며 "특히 오피스는 윈도 3.1판에서 윈도 95판으로의 변화에 버금가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또 윈도 운영체제(OS) 정품인증 프로그램과 관련해 "불법복제 이용자를 괴롭히려는 것이 아니라 정품 이용자에게 혜택을 더 주려는 것"이라며 "기능개선 업그레이드는 정품 이용자만 이용 가능하지만 보안 관련 업데이트는 모두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