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꿈을 꾸고 있는 여인을 그린 존 앤스터 피츠제럴드의 1858년 그림 <꿈의 재료>는 마귀, 도깨비, 짐승과 정령 등 흔히 보이는 꿈의 주제들을 보여준다. 위키미디어 공용
|
[토요판/몸] 꿈의 해석
▶ 정신분석학에서 꿈은 나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어떤 상징입니다. 그래서 꿈이 은유하는 길을 따라 걸으며 기억속에 묻힌 개인의 역사를 재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뇌 과학에서는 꿈을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꿈이란 수면 중 뇌의 어떤 부분이 활발하게 작동한 결과물이기 때문이지요. 꿈의 신비로움과 꿈의 과학. 어떤해석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몸과 정신의 관계가 다르게 보입니다.
인류의 시간이 흐르기 시작한 이래로 꿈은 항상 매혹적인 존재였다. 사람들은 생생한 꿈속에서 사랑과 열정, 분노와 슬픔, 공포 따위의 감정을 분출했다. 은유와 상징으로 가득한 꿈을 통해 무수히 많은 예술 작품을 쓰거나 그렸다. 그리고 종교 활동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
여기 하나의 꿈을 소개한다.
혼자 마당을 걷고 있는 소녀가 있다. 마당 뒤편에 있는 어느 집에서는 창밖으로 은은한 불빛이 새어나온다. 가족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웃는 소리가 마당까지 들린다. 소녀는 지금 아장아장 집 안의 불빛을 향해 걸어가고 있다. 갑자기 집 방향에서 공 하나가 또르르 굴러온다. 공을 본 소녀는 화가 난 듯, 발로 공을 세게 찬다. 공은 집 밖으로 멀리 날아갔다.
정신분석학계는 꿈을 해석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한국정신분석학회 회장인 유범희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장의 말이다.
“비교적 성공적인 삶을 살아온 전문직 여성이었어요. 직장 내 대인관계의 문제를 겪다가 상담을 받았는데, 처음에는 평탄하게 자기 인생을 되돌아봤어요. 그런데 조금씩 정보가 축적되면서 치료자가 판단하기에 이 사람에게 남동생과 관련한 히스테리가 있는 것을 알게 됐어요.”
치료자가 판단하길, 공은 남동생을 상징하는 물건이다. 의식의 세계에서는 오누이의 사이가 좋을 수 있지만 상담자의 무의식에는 어린 시절 부모님에게 받은 관심을 뺏어간 남동생에 대한 뿌리 깊은 분노감과 경쟁심이 있다. 그 결과 직장에서도 남자 동료들과의 경쟁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라고 꿈을 해석했다.
정신분석학에서 꿈은 해석 가능한 ‘자료’다. 꿈이 개인의 인생과 그 인생이 만든 무의식의 발현이라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을 따른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한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겉으로 드러난 의식의 세계만이 아니라 그가 기억 너머로 묻은 무의식의 영역을 탐색할 때만 가능하다. 그래서 정신분석학자들에게 꿈은 한 인간의 진실을 풀어가는 어떤 실마리다. 프로이트는 꿈을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라고 불렀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만들어지는 재료를 삶의 순간들이라고 가리킨다. 0세부터 쌓아온 기억이나 경험 중 폭발성이 강한 내용이 무의식의 세계에 갇히는데, 특히 의식이 감당하기 어렵거나 알려지기 힘든 내용인 경우가 많다.
한편 생물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한 뇌과학계에서는 신화의 영역에 있던 꿈을 과학의 세계로 소환한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앨런 홉슨 교수는 그의 책 <꿈>에서 “프로이트는 50%는 맞고 100%는 틀렸다”고 선언한다. 그는 꿈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격앙 상태만 인정할 뿐이다.
정신분석학에서 꿈은 해석 가능한 자료다
기억이나 경험의 일부가
무의식의 세계에 갇히고
그것이 꿈으로 발현된다 반면 뇌과학계는 꿈을
감정과 관련된 뇌 일부의
활성화 현상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뇌 손상 입은 이들은
꿈을 꾸지 않는다고 한다 ‘활성화-종합이론’(activation-synthesis)이라 부르는 그의 꿈 이론에 따르면, 꿈이란 잠을 자고 있는 뇌가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뇌로 드나드는 우연한 전기자극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꿈이다. 따라서 꿈에서 숨은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책 <그림으로 읽는 뇌과학의 모든 것>을 쓴 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의 설명이다. “지난 한 세기 동안 꿈은 해석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어요. 그런데 이미 1900년대 들어 렘수면(REM: rapid eye movement. 빠른 안구 운동)이 발견되고 신경세포(뉴런)의 활성이 수면 중에도 계속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자는 동안에도 뇌가 활동하고 있는 건데, 결국 뇌의 활동대로 보여지는 것이 꿈이죠.”
|
※ 그래프를 누르시면 확대됩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