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7 15:57 수정 : 2005.09.07 15:57

과학향기

◈ 진딧물은 우리 농산물에 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진딧물을 없애는 것이 일년농사의 승패를 좌우할만큼 농민들에게 대단해 중요한 일이다. 지금까지 진딧물을 없애는 방법은 기생봉을 이용하는 방법이었다. 기생봉이란 자신의 유충을 진딧물 몸속에 산란하여, 그 유충이 진딧물을 먹이로 삼아 소멸케 하는 일종의 곤충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에 아리조나 곤충학과 Kerry M. Oliver의 설명에 따르면 일부 진딧물이 기생봉에 의해 소멸되지만, 또 다른 진딧물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이유는, "진딧물의 유전형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진딧물에 서식하는 공생균들에 의해 기인될 수 있다"라고 한다. 이 말은 기생봉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진딧물들은 내부에 공생 세균들을 가지고 있다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Oliver는 다양한 연구를 시행했는데, 시험 결과 진딧물들의 기생봉에 대한 내성의 다양성은 자신들의 유전자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생봉에 대한 방어력을 보이는 공생균 때문이라는 점을 밝혀낸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공생균이 내성을 일으키는 기작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연구는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Oliver는 내다 봤다. (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