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 각박해지면 한 상자 가득 숨어 있는 보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출처/ openclipart.org
|
[사이언스온] 고고학, 인간 욕망을 발굴하다
모험인가? 욕심인가? 보물을 찾아나선 사람들
초등학교 소풍에서 빠질 수 없는 즐거움 중 하나가 ‘보물 찾기’였다. 선생님들이 ‘보물’ 이름을 적은 조그만 종이를 어딘가에 숨겨 놓으면, 아이들은 나무 위도 살피고 돌도 들춰보며 그 종이를 찾아 다녔다. 생각해보면 보물이라고 해봐야 고작 학용품 정도일 텐데, 왜 그리 종이를 열심히 찾아다녔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보물이라는 단어가 주는 설렘 때문이었으리라.
감춰진 보물에 대한 동경은 이렇게 우리 어린 시절부터 각인된다. 보물 찾기를 어린 시절의 추억으로 간직하다가도, 세상이 팍팍해지면 문득 “어디서 보물이라도 나오지 않나” 하는 원색적인 바람을 품기도 한다. 경제학자들은 경제가 불황이면, 보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진다고 말한다. 한동안 경기가 침체되었던 탓인지, 요즘 미국에서도 보물을 찾는 사람이 부쩍 늘고 있다.
‘보물 사냥’은 자연사 연구와 다소 동떨어져 보이지만, 자연사 분야 중 하나인 고고학과 그 맥이 닿아 있다. 고고학은 인류가 남긴 흔적에서 역사를 밝히는 학문이다. 보물사냥꾼의 대다수는 자신을 ‘아마추어 고고학자’로 소개한다. 고고학자가 들으면 섭섭할지 몰라도, 어쩌면 인간의 욕망에 솔직한 고고학자가 보물사냥꾼이 아닐까?
쭈꾸미가 찾아낸 태안 보물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미국에서 치솟는 ‘보물’의 인기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 적이 있다. 1997년 국제통화기구(IMF) 구제금융 사태는 한국 경제의 근간을 흔든 상처로 지금까지도 서민의 주머니 사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당시 밀레니엄을 갓 넘긴 2000년 초반 한국에서는 ‘보물선’ 광풍이 불었다.
2000년 11월, 한 해저유물 발굴업자가 군산 앞바다에 침몰한 보물선 ‘쾌창한’을 인양한다며 투자자의 돈을 가로채는 사건이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동아건설이 러시아 침몰선 ‘돈스코이호’ 발굴 작업에 뛰어들었다. 약 50조 원 가치의 금괴가 침몰선에 있다는 소문 때문에 투자자가 몰려들었으나, 2001년 동아건설은 법정관리 폐지결정을 받아 결국 주식 상장이 좌절되었다. 동아건설의 사례에 힘입어 2001년 진도 죽도 해저 보물 탐사에 뛰어든 주식회사 삼애인더스도 주식이 무려 5배나 뛰기도 했다. 당시 삼애인더스는 보물 사업의 가치가 20조원에 달한다며 투자를 유치했으나 이른바 ‘보물 게이트’에 휘말려 불행한 결말을 맞았다. 2003년에는 동아건설에서 ‘돈스코이호’를 발견했다는 소식과 또 다른 해저유물 발굴업체인 주식회사 골드쉽에서 인천 옹진군 해상에 침몰했다고 알려진 청나라 때 목선 ‘고승호’ 인양 소식으로 보물선 파동이 재연되었지만, 보물의 실체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1]
|
왼쪽: 신안 앞바다에 침몰한 배에서 1976년 인양한 중국 송-원대 도자기. 오른쪽: 태안 앞바다에서 2007년 수중 발굴 조사로 인양한 과형고려청자. 출처/ Wikimedia Commons, 연합뉴스
|
As I have gone alone in there
내가 그곳에 홀로 갈때 And with my treasures bold,
그것도 대담하게 나의 보물들과 함께 I can keep my secret where,
나는 어디든 나의 비밀을 간직할 수 있다네 And hint of riches new and old.
그리고, 새롭고도 오래된 부에 대한 암시 Begin it where warm waters halt
시작해 보아라. 따듯한 물이 멈추는 곳 And take it in the canyon down,
그리고 협곡으로 떨어지는 그 곳 Not far, but too far to walk.
그렇게 멀지도, 하지만 걸어가기는 먼 그 곳 Put in below the home of Brown.
브라운의 고향 아래로 이끄는 그 곳 From there it‘s no place for the meek,
거기에 용기 없는 자들을 위한 자리는 없다 The end is ever drawing nigh;
끝이 이끄는 대로 There’ll be no paddle up your creek,
당신의 샛강을 거슬러 노를 젖지 않아도 되리라 Just heavy loads and water high.
무거운 짐과 높은 물뿐 If you‘ve been wise and found the blaze,
만약 당신이 지혜로워 광채를 발견한다면, Look quickly down, your quest to cease,
재빨리 아래를 보라. 당신의 탐구를 멈추라 But tarry scant with marvel gaze,
하지만 경이로운 응시로 주저하지 말라 Just take the chest and go in peace.
그냥 상자를 가져가 평화를 구가하라 So why is it that I must go
그럼 나는 왜 세상을 떠나 And leave my trove for all to seek?
나의 수집품을 누가 찾도록 모두 남겨놓고 가는가? The answer I already know,
내가 아는 대답은 I’ve done it tired, and now I‘m weak.
나는 지쳐 버렸고, 나는 이제 약하다는 것 So hear me all and listen good,
그래서 내가 하는 말을 잘 새겨듣도록 Your effort will be worth the cold.
당신 노력의 결과로 얻는 것이 감기뿐일지라도 If you are brave and in the wood
만약 당신이 용감하게 숲으로 나선다면 I give you title to the gold.
당신에게 내 모든 금을 허락하겠노라.
내가 그곳에 홀로 갈때 And with my treasures bold,
그것도 대담하게 나의 보물들과 함께 I can keep my secret where,
나는 어디든 나의 비밀을 간직할 수 있다네 And hint of riches new and old.
그리고, 새롭고도 오래된 부에 대한 암시 Begin it where warm waters halt
시작해 보아라. 따듯한 물이 멈추는 곳 And take it in the canyon down,
그리고 협곡으로 떨어지는 그 곳 Not far, but too far to walk.
그렇게 멀지도, 하지만 걸어가기는 먼 그 곳 Put in below the home of Brown.
브라운의 고향 아래로 이끄는 그 곳 From there it‘s no place for the meek,
거기에 용기 없는 자들을 위한 자리는 없다 The end is ever drawing nigh;
끝이 이끄는 대로 There’ll be no paddle up your creek,
당신의 샛강을 거슬러 노를 젖지 않아도 되리라 Just heavy loads and water high.
무거운 짐과 높은 물뿐 If you‘ve been wise and found the blaze,
만약 당신이 지혜로워 광채를 발견한다면, Look quickly down, your quest to cease,
재빨리 아래를 보라. 당신의 탐구를 멈추라 But tarry scant with marvel gaze,
하지만 경이로운 응시로 주저하지 말라 Just take the chest and go in peace.
그냥 상자를 가져가 평화를 구가하라 So why is it that I must go
그럼 나는 왜 세상을 떠나 And leave my trove for all to seek?
나의 수집품을 누가 찾도록 모두 남겨놓고 가는가? The answer I already know,
내가 아는 대답은 I’ve done it tired, and now I‘m weak.
나는 지쳐 버렸고, 나는 이제 약하다는 것 So hear me all and listen good,
그래서 내가 하는 말을 잘 새겨듣도록 Your effort will be worth the cold.
당신 노력의 결과로 얻는 것이 감기뿐일지라도 If you are brave and in the wood
만약 당신이 용감하게 숲으로 나선다면 I give you title to the gold.
당신에게 내 모든 금을 허락하겠노라.
|
왼쪽 위: 록키산맥에 몰래 최소 11억원 어치 보물을 숨긴 포레스트 펜씨. 최근에 출간한 두 번째 자서전 ‘Too Far to Walk’를 들고 있다. 왼쪽 아래: 포레스트 펜의 첫 번째 자서전 ‘The Thrill of the Chase’. 책 속에 보물이 무엇인지 암시하는 사진과, 보물의 위치에 대한 단서가 있는 지도와 시 한 편이 실려있다. 오른쪽: 포레스트 펜씨의 자서전에 나오는 사진으로 록키산맥에 숨겼다는 보물상자로 여겨진다. 상자 자체만도 3천만원 가치가 넘는다고 한다. 출처/ huffingtonpost.com, dalneizel.com
|
|
왼쪽 위: 최근 참나무섬에서 보물 탐사를 이끌고 있는 레지나 형제. 히스토리채널의 프로그램 ’참나무섬의 저주’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오른쪽 위: 참나무섬의 위치. 캐나다 노바스코티아 주의 해안에 있는 조그만 섬이다. 왼쪽 아래: 참나무섬에서 보물 탐사를 하다가 목숨을 잃은 여섯 명을 기리는 비석. 전설에 따르면 일곱 명의 희생 이후에 보물이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한다. 오른쪽 아래: 1910년께 참나무섬을 찾은 한 무리의 보물 탐사대.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나중에 미국 대통령이 된 프랭클린 루즈벨트다. 출처/ History Channel, Wikimedia Commons, veryhelpful.com
|
[참고문헌]
[1] 시사저널, 2003. 보물선에 미치면 ‘패가망신’. 시사저널 712호. http://www.sisapres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7884
[2 문환석, 2008. [문화재e야기] 신안해저 보물선 발견이야기. 조선일보 5월 14일자. http://newsplu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1/06/2010010603415.html
[3] 세무정보, 2007. 태안 고려청자 보물선 최초 발견자의 포상금은 얼마? 세무정보 7월 25일자. http://customs.tistory.com/49
[4] Wikipedia. Fenn treasure. http://en.wikipedia.org/wiki/Fenn_treasure
[5] Burlingame, L., 2014. 11 Lost and Hidden Treasures That Could Make You Very Rich. http://www.weather.com/science/nature/news/11-lost-and-hidden-treasures-could-make-you-very-rich-20140330#/1
[6] Krasnow, B., 2014. Women claims she’s solved Forrest Fenn riddle. http://www.santafenewmexican.com/news/local_news/woman-claims-she-s-solved-forrest-fenn-riddle/article_ca8a24f4-fe87-5602-8c24-af3b4d3882e8.html
[7] Neitzel, D., 2011. Part two…Interpreting the clues… http://dalneitzel.com/2011/09/03/part-two-interpreting-the-clues/
[8] Stump, S., 2013. Keep searching! Fresh clue released in hunt for treasure worth millions. http://www.today.com/news/keep-searching-fresh-clue-released-hunt-treasure-worth-millions-6C10480482
[9] Oak Island Treasure website. Oak Island Treasure: History. http://www.oakislandtreasure.co.uk/content/section/5/35/
[10] Gola, G., 2013. The mystery of the elusive treasure of Oak Island. http://www.unbelievable-facts.com/2013/10/the-mystery-of-elusive-treasure-of-oak.html
[11] History Channel website. About the series. http://www.history.com/shows/the-curse-of-oak-island/about
[12] Angulo, E., 2013. Another clue! New hint released for NM treasure seekers. http://www.today.com/news/another-clue-new-hint-released-nm-treasure-seekers-6C9724068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