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주. 한겨레 자료사진
|
‘음주 측정’, 진짜 그래요?
가글링을 하면 음주운전 처벌을 면할 수 있다?
“물이나 가글링 용액으로 입을 헹구면 알코올 농도를 떨어뜨려 음주운전 단속을 면할 수 있다”는 속설이 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호흡측정기는 폐포에서 교환이 이뤄진 공기를 측정해 혈액 속의 알코올 양을 추정한다. 측정기를 입으로 불기 때문에 입안에 알코올이 남아 있으면 폐 속에서 나온 알코올과 더해진다. 음주 단속 때 물로 입을 헹구게 한 뒤 정밀 측정하는 이유다. 하지만 가글링 용액에는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어 오히려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숨을 어떻게 쉬는지는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마이클 래스탤라 석좌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면, 음주 측정에 앞서 20초 동안 과대호흡(심호흡)을 하면 알코올 농도가 11% 줄어들고, 3번 심호흡만 해도 4% 정도 줄어들었다. 반대로 숨을 15초 동안 참았다가 내쉬면 농도가 6~12% 늘었으며, 30초로 늘리면 16%까지 증가했다.
‘주당’은 음주 측정에도 강하다?
|
22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