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8 15:49 수정 : 2005.01.28 15:49

◈ 인간의 기억능력이란 자극하는 감각이 많을수록 높아지며 기억이 머리 속에 정착되기 쉽다. 잠자코 눈으로 문자를 따라 읽으면 시각만 자극 받게 되므로 인간이 지닌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다 활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비하여 음독을 할 경우, 시각은 물론이고 소리까지 낼 때 입술과 혀의 감각, 자기 목소리를 들을 때의 청각까지 자극되므로 기억의 효과가 훨씬 높다. 이 보다 더 철저하게 하려면 음독을 하면서 메모를 하는 것이다. 기록을 하는 경우 손끝의 감각, 그리고 메모한 문자에서 시각이 다시 자극 받게 된다. 읽기만 하는 것보다 써보는 편이 더 기억에 남는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실은 이러한 생리적 뒷받침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독서할 때 목소리는 내지 않더라도 입을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머리 속에 차곡차곡 기억해 두고자 하는 마음이 작용하여 어느 사이에 입이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