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그래요?
부모가 알레르기면 자식도? 알레르기는 면역글로불린-E(IgE)가 오리나무 꽃가루 등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오인 반응해 생긴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성 질환이지만 많은 경우 유전적 요인의 영향도 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부모 가운데 한 사람이 알레르기 환자면 자식이 알레르기 환자가 될 확률을 60%로 보고 있다. 부모가 모두 알레르기 환자면 확률이 80%까지 올라간다. 하지만 알레르기 발생만 같을 뿐 알레르기 종류는 다를 수 있다. 아빠는 집먼지 알레르기가 있고 엄마는 돼지풀 알레르기인데 아이는 자작나무 알레르기 증세를 보일 수 있다. 오재원 한양대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다 보니 갈수록 알레르기 환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같은 식구라도 증세를 일으키는 항원이 다른 것은 알레르기 유전자는 같은데 다변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자 염기 1000개당 1개꼴로 달라지는 단일유전자변이(SNP)는 같은 유전자를 물려받았더라도 면역글로불린-E가 결합하는 항원이 달라지게 만들 수 있어서다. 평소 괜찮다가 알레르기 항원이 겹칠 때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고양이와 강아지 모두에 알레르기 반응이 없던 사람이 두 동물을 한꺼번에 기를 때 두 동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모두 나타날 수 있다.
|
생활 속에 숨은 과학 원리가 궁금하시면 전자우편을 보내주십시오. 성심껏 속시원히 풀어드리겠습니다. kyl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