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그래요?
설악산 얼음은 영상에도 언다? 기상청이 2014년 10월7일 오전 7시10분에 발표한 기상정보를 보면 “설악산에서 첫얼음이 관측됐다”고 돼 있다. 같은 정보에 설악산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기온은 영상 1.8도로 실려 있다. 지난 5년 동안 기상청이 첫얼음이 관측됐다고 발표한 날 설악산 기온을 보면, 영하인 때는 2011년(영하 0.1도)과 지난해(영하 1.1도)뿐으로, 2012년(0.2도), 2013년(0.4도), 2014년(1.8도)에는 영상이었다. 물의 어는점은 0도다. 기상청은 얼음이 영상에서 언다는 ‘비과학적 사실’을 발표한 것일까? 답은 “아니다”이다. 우선 자동기상관측장비는 백엽상과 마찬가지로 1.2~1.5m 높이의 기온을 측정한다. 땅바닥은 복사냉각으로 기온이 더 떨어질 수 있다. 실제로 2012년 최저기온은 0.2도였지만 지면온도인 초상최저기온은 영하 0.2도였다. 또 기상청은 설악산 얼음이 주로 중청봉에서 관측됐다고 발표한다. 자동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된 곳(해발 1596m)은 얼음을 관측하는 중청봉 대피소(1676m)보다 100m 가까이 낮다. 기온은 고도 100m당 0.5도 정도 낮아진다. 하지만 기상장비가 정밀하다 해도 자료로만 추정해 ‘첫얼음 관측’이라고 발표할 수는 없다. 기상청은 중청봉 대피소에서 근무하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이 직접 맨눈으로 얼음이 언 것을 관찰해 알려줬을 때 발표한다.
|
생활 속에 숨은 과학 원리가 궁금하시면 전자우편을 보내주십시오. 성심껏 속시원히 풀어드리겠습니다. kyl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