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른과 아기가 눈을 맞추며 소통할 때 둘 사이엔 ’뇌파 동기화’도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뇌파 측정 장치를 모자처럼 쓰고 있는 아기와 어른.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제공
|
직접 바라보기 때 ‘뇌파 동기화’ 뚜렷
아기의 목소리도 어른의 뇌파에 영향
‘어른과 소통할 준비가 돼 있음’ 신호
|
어른과 아기가 눈을 맞추며 소통할 때 둘 사이엔 ’뇌파 동기화’도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뇌파 측정 장치를 모자처럼 쓰고 있는 아기와 어른.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제공
|
논문 초록 (부분 번역)
두 실험에서 어른은 아기의 신경 활성에 상당한 인과적 영향을 주었다. 그 영향은 간접 시선에 비해 직접 시선이나 곁눈질 때에 더욱 강했다. 비디오가 아니라 실제 상호작용에서 아기는 간접 시선보다는 직접 시선의 경우에 어른에게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더욱이 아기는 직접 시선 때에 더 자주 목소리를 냈고, 더 오래 목소리를 낸 아기들은 어른들에게 더 강한 동기화를 이끌어냈다. 이런 결과는 직접 시선이 소통하는 동안에 쌍방향의 어른-아기 신경 연결을 강화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런 명시적인 친교 신호들은 뇌를 일시적으로 상호 조율하는 데 작용할 수 있으며, 유아기의 소통과 학습 때 정보전달을 돕는 접합의 연결망(joint network)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
[PNAS (2017), doi: 10.1073/pnas.1702493114]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