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가장 완벽한 인간 게놈 지도 완성”
    표준유전체와 아시아인 국내 연구팀이 지금까지 완성된 어느 유전체보다 완벽한 한국인 유전체(게놈) 지도를 제작해 맞춤의학 발전에 새로운 문을 열었다. 서울대 유전체의학연구소(...
    2016-11-23 20:48
  • “의식 조절하는 뇌 영역과 연결망 찾아”
    깨어 있어 자신과 주변을 감각·지각할 수 있는 ‘의식’이 콕 집어 뇌의 어느 영역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물음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 의과대...
    2016-11-23 11:36
  • 게임으로 연구 품앗이 따로 또 같이, 공개-공유
    디지털 온라인 시대에 과학의 풍경도 바뀐다. 공개형 온라인 학술논문들이 점차 대세로 자리잡는가 하면 지능형 알고리즘이 예전엔 엄두도 못 내던 거대한 데이터를 처리해 새로운 발견을...
    2016-11-23 10:23
  • 거미줄 성분으로 만든 아디다스 운동화
    17일(미국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파슨스 디자인스쿨에서 열린 바이오직물 콘퍼런스에서 아디다스가 바이오스틸 섬유로 만든 ‘콘셉트 운동화’를 공개했다. 거미가 거미줄을 만들 때 사용하는...
    2016-11-21 11:06
  • 100만명은 왜 하나처럼 행동했나
    지난 12일, 서울 광화문에 100만여명이 모인 가운데 기자는 어떻게 숭례문에서 내자동까지 2㎞ 행진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 그것은 질서를 지켜 평화집회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집단...
    2016-11-21 08:30
  • 촛불집회 인원 집계, 앉으면 6명 서면 9명? 한국은 여전히 눈대중만…
    외국에서는 집회 인원을 헤아리는 데 영상분석과 와이파이(WiFi) 등 첨단 방식이 등장하고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여전히 어림수에 의한 ‘주먹구구식’ 집계가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객관적으...
    2016-11-21 08:28
  • 김미주 연세대 교수 ‘동물대체실험 노벨상’ 국내 첫 수상
    동물 대체실험 연구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러쉬 프라이즈’에서 첫 한국인 수상자가 나왔다. 러쉬코리아는 18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의 김미주(33) 연구조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러쉬 프...
    2016-11-18 22:10
  • 수술시간 2배 빠른 자동 식모기 개발
    국내 연구진이 탈모 환자에게 25개 모낭을 한번에 이식해 시술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자동 식모기’를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6일 “한번에 25개의 모낭을 연속적...
    2016-11-16 10: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