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일론 머스크 “2022년부터 화성 여행 일상화”
인류의 화성 식민지 개척을 그렸던 공상과학 영화 <마션>의 이야기가 머잖아 실현될 수 있을까? 전기차 테슬라와 민간 우주개발 회사 스페이스 엑스(X)의 설립자인 미국 부자 일론 ...
2016-09-28 16:03
사상 첫 ‘세 부모 아기’가 탄생했다
미토콘드리아 대체 방식을 통해 세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은 아기가 사상 처음으로 탄생했다. 이 아기는 자신의 실제 부모와 익명의 난자 기증자 등 3명으로부터 자신의 게놈을 부여받...
2016-09-28 10:04
나사 “목성 위성 유로파에서 200㎞ 물기둥 발견”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 200㎞ 높이의 물기둥이 치솟는 것을 발견했다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6일(미국 현지시각) 밝혔다.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높이는 발견으로서 주목된다. ...
2016-09-27 11:10
200㎞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여진 발생한다
한 단층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면 이웃한 단층에도 큰 여진을 부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 연구팀은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48개의 정체...
2016-09-26 14:04
노르웨이 패러독스…석유로 석유를 퇴출시킬 수 있을까
세계 최고의 사회복지를 자랑하는 북유럽 나라들은 환경보호에도 매우 적극적이다. 해마다 발표되는 환경성과지수, 녹색경제지수 최상위권은 이들의 독무대다. 노르웨이도 그런 북유럽 국가 ...
2016-09-26 14:03
‘미니 인공장기’는 실험실의 쥐와 원숭이를 구할까
드라마에 임신의 메타포로 여전히 헛구역질(입덧)이 등장하지만 화장실에서 임신키트를 들고 있는 모습이 훨씬 현대적이고 과학적으로 느껴진다. 20세기 초라면 어땠을까? 임신부의 소변에서...
2016-09-26 14:01
외계생명체가 역사책에 등장하는 날이 올까
▶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란 지금까지 인간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밝히고 기록하고 의미짓는 일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90억살의 우주가 없이는 태양이나 지구는 물론 그 위에서 생겨난 박테리...
2016-09-24 14:13
‘26일 밤 8시33분’을 걱정하시는 분들께
이근영 미래팀 선임기자 kylee@hani.co.kr 자연재해 때마다 찾아뵙는 ‘재난 전문기자’입니다. 지난 7월 ‘울산 지진은 대재앙의 전조일까요?’라는 질문에 “울산 앞바다의 잦은 지진이 큰 지...
2016-09-23 20:28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