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살균제 치약’보다 ‘늦장 정부’가 더 위험하죠
    김정수 미래팀 선임기자 jsk21@hani.co.kr 요즘 양치질할 때마다 좀 찜찜한 독자들 많으시죠? 미래팀에서 환경 분야를 취재하는 김정수입니다. 저는 오늘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
    2016-09-30 19:50
  • 구글·MS…세계 IT 빅5 ‘인공지능 개발’ 손 맞잡아
    글로벌 정보기술(IT) 대기업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해 한데 뭉쳤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아이비엠(IBM),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에 본사를 둔 5대 기업...
    2016-09-29 21:52
  • IT 빅5, ‘인공지능 개발’ 어깨 걸었다
    글로벌 정보기술(IT) 대기업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해 한데 뭉쳤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아이비엠(IBM),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에 본사를 둔 5대 기업...
    2016-09-29 16:24
  • 일론 머스크 “2022년부터 화성 여행 일상화”
    인류의 화성 식민지 개척을 그렸던 공상과학 영화 <마션>의 이야기가 머잖아 실현될 수 있을까? 전기차 테슬라와 민간 우주개발 회사 스페이스 엑스(X)의 설립자인 미국 부자 일론 ...
    2016-09-28 16:03
  • 사상 첫 ‘세 부모 아기’가 탄생했다
    미토콘드리아 대체 방식을 통해 세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은 아기가 사상 처음으로 탄생했다. 이 아기는 자신의 실제 부모와 익명의 난자 기증자 등 3명으로부터 자신의 게놈을 부여받...
    2016-09-28 10:04
  • 나사 “목성 위성 유로파에서 200㎞ 물기둥 발견”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 200㎞ 높이의 물기둥이 치솟는 것을 발견했다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6일(미국 현지시각) 밝혔다.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높이는 발견으로서 주목된다. ...
    2016-09-27 11:10
  • 200㎞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여진 발생한다
    한 단층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면 이웃한 단층에도 큰 여진을 부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 연구팀은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48개의 정체...
    2016-09-26 14:04
  • 노르웨이 패러독스…석유로 석유를 퇴출시킬 수 있을까
    세계 최고의 사회복지를 자랑하는 북유럽 나라들은 환경보호에도 매우 적극적이다. 해마다 발표되는 환경성과지수, 녹색경제지수 최상위권은 이들의 독무대다. 노르웨이도 그런 북유럽 국가 ...
    2016-09-26 14:03
  • ‘미니 인공장기’는 실험실의 쥐와 원숭이를 구할까
    드라마에 임신의 메타포로 여전히 헛구역질(입덧)이 등장하지만 화장실에서 임신키트를 들고 있는 모습이 훨씬 현대적이고 과학적으로 느껴진다. 20세기 초라면 어땠을까? 임신부의 소변에서...
    2016-09-26 14:01
  • 외계생명체가 역사책에 등장하는 날이 올까
    ▶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란 지금까지 인간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밝히고 기록하고 의미짓는 일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90억살의 우주가 없이는 태양이나 지구는 물론 그 위에서 생겨난 박테리...
    2016-09-24 14: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