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26일 밤 8시33분’을 걱정하시는 분들께
    이근영 미래팀 선임기자 kylee@hani.co.kr 자연재해 때마다 찾아뵙는 ‘재난 전문기자’입니다. 지난 7월 ‘울산 지진은 대재앙의 전조일까요?’라는 질문에 “울산 앞바다의 잦은 지진이 큰 지...
    2016-09-23 20:28
  • 지진 전파체계 ‘3대 루트’ 먹통…문자경보 청와대에도 안가
    #ㄱ씨는 쓰러지는 건물 밑에서 의아했다. 조금 전 땅이 흔들린다고 느꼈지만 본인의 착각이라 생각했다. 텔레비전에서는 평소와 같은 방송이 나오고 있었고, 비록 구식이지만 문제없이 잘 터...
    2016-09-21 19:04
  • 올해 노벨상 누가 받을까?…수상 예측명단 발표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를 예상해온 톰슨 로이터가 21일 올해 노벨과학상 예측명단을 발표했다. 노벨상은 다음달 3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4일에는 물리학상, 5일 화학상, 7일 평화상, 19일...
    2016-09-21 13:01
  • 장내 미생물의 ‘두 얼굴’…병 되기도, 약 되기도
    ‘좋은 학점을 받으려면 자기 똥 속 미생물을 잘 배양하고 관찰해야 한다.’ 실제로 있는 일이다. 미국의 한 대학에선 생물학 수업으로 학생들한테 자기 똥을 받아 거기에 든 장내 미생물을...
    2016-09-20 22:48
  • 인체 미생물 39조 개, 세포의 1.3배
    대부분은 대장에 몰려 있어 붙박이도 있고 떠돌이도 종들의 세력 분포는 음식도 영향 주지만 유전자도 우리 몸은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박테리아 미생물과 더불어 살고 ...
    2016-09-20 22:46
  • 장내 미생물, 생물 진화 추적 중요 단서
    이런 연구 저런 발견 장내 미생물은 생물의 진화 역사를 추적하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로 쓰인다. 최근 미국 텍사스대학교 연구진은 사람과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의 똥 속에 있는 ...
    2016-09-20 22:27
  • 12일 지진의 에너지는 19일 지진에 90배
    경주에서 19일 밤 발생한 규모 4.5 지진은 12일 규모 5.8 지진의 충격보다는 적었지만 시민들은 다시 놀라 집에서 뛰어나와야 했다. 지진의 규모와 진도, 그에 따른 지진에너지 차이를 문답...
    2016-09-20 20:08
  • 경주서 4.5규모 여진…‘야자’ 학생들 긴급 대피
    경북 경주에서 또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19일 “오후 8시33분 58초에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이날 지진이 ...
    2016-09-19 21:52
  • 우버 라이벌 리프트, 내년부터 자율주행차로 서비스
    우버의 강력한 경쟁자인 차량공유 서비스 업체, 리프트가 2021년에는 대부분의 승객이 자율주행차를 이용하게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차 시대에 대한 비전을 내놨다. 리프트 존 짐머 회장은...
    2016-09-19 17:22
  • ‘핵물리학자’로 왜곡된 청년 이휘소의 진심
    ‘노벨물리학상에 가장 근접했던 한국계 과학자’ 이휘소 박사는 1977년에 미국에서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42살 때의 일이다. 그는 입자물리학자였지만 우리나라에선 핵물리학자로 잘...
    2016-09-19 05:0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