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오늘밤 별똥별 우주쇼…관측 명당은 어디?
    12일 밤 ‘별똥별'이라고 불리는 유성우가 쏟아진다. 12년 만에 가장 많은 유성우를 관측할 수 있는 날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2일 밤 북동쪽 하늘 페르세우스 별자리에서 별똥별이 시간당...
    2016-08-12 15:31
  • 우주 소행성에서 광물 캐러 나선다
    소행성 채굴은 지구에는 희소하지만 우주에는 널려 있는 귀중한 광물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우주 프로젝트이다. 태양계 형성시 남은 잔해들로 만들어진 소행성에는 갖가지 광물자원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전문가들이 가장 ...
    2016-08-11 16:15
  • 우주에서 본 지구, 고독하면서도 찬란한
    우주비행사들이 경험하는 특별한 감정 중에 ‘조망 효과’(Oerview Effect)란 게 있다. 저 멀리 떨어진 우주에서 지구를 조망하면서 겪게 되는 자연관, 생명관, 윤리관 등 가치관의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 실제로 우주 사진들은 지구와 ...
    2016-08-11 15:57
  • 가짜 기억 만들고 치매 쥐 기억 회복하고…
    최근의 몇몇 연구 결과들이 기억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던져주고 있다. 이런 연구들은 신경세포(뉴런)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기법(‘광유전학’)이 등장하면서, 이전까지 실험으...
    2016-08-10 11:10
  • 1000억개 뉴런, 100조개 시냅스…이들은 기억에서 무슨 일할까
    기억에 관한 연구 결과가 종종 뉴스로 보도됩니다. 기억을 다룬 과학 뉴스를 좀더 흥미롭게 보려면 신경과학의 몇 가지 용어에 익숙해지는 게 좋습니다. 기억은 뇌 신경세포와 시냅스에 저장...
    2016-08-10 11:06
  • 신경과학자들에게 기억이란 빙산, 생채기, 정체성…
    “기억이란 나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해요.” 30년째 ‘기억’을 연구해온 신경과학자인 정민환 카이스트 교수(생명과학과)는 기억 연구자한테 기억이란 무엇인지 묻자, ‘나’의 인성과 세계관을...
    2016-08-10 11:01
  • 하늘로 물밑으로, 3대 이어 ‘인류 최초’ 과학모험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미래학의 정언명제가 아니다. 19세기 에이브러햄 링컨, 20세기 피터 드러커 등 세계의 유명 인사들이 비전을 말할 때 즐겨 쓰는 문구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미...
    2016-08-10 10:42
  • 야당, 제3기 원안위원 추천 과정에서 잡음
    제3기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선정을 두고 야당 내부에서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반핵 운동을 이끌어온 시민사회단체 쪽에서는 내정 인사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9일 원...
    2016-08-09 13:29
  • 과학 모험가 집안, 삼대가 몸을 던져 미래를 열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세계의 유명 인사들이 비전을 말할 때 즐겨 쓰는 문구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미래는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
    2016-08-08 10:19
  • ‘닥터 인공지능’, 의사가 놓친 결핵을 찾아내다
    technology_ 국내의 유망 스타트업 기업인 루닛은 엑스레이 영상으로 결핵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딥러닝이라는 인공지능 기술은 97% 이상의 높은 정확도로 결핵을 진단할 수 있게...
    2016-08-08 10: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