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블랙홀의 병합’ 두 번째 중력파 포착하다
    14억 광년 거리를 날아온 중력파가 지상 관측소에서 사상 두 번째로 검출됐다. 중력파를 관측하는 라이고(LIGO) 과학협력단과 비르고(Virgo) 연구단은 15일 미국 리빙스턴과 핸퍼드에 있는...
    2016-06-16 08:00
  • ‘생명의 비밀’ 풀 단서 우주에서 찾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세포로 이뤄져 있고 세포는 단백질로 구성돼 있으며 단백질은 20개의 아미노산이 조합해 만들어진다. 이들 아미노산은 광학이성질체이다. 광학이성질체란 우리 왼손과 오...
    2016-06-15 07:41
  • 장마철엔 제습기 웃고 에어컨 울고?
    장마철엔 제습기 웃고 에어컨 울고? 장마는 동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계절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장마, 중국의 메이유, 일본의 바이우는 비슷한 원인의 여름철 우기를 말한...
    2016-06-12 20:46
  • 강하고 독해진 장마, ‘우중산책’의 계절 생겼나
    올해 장마는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날까?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은 장마철이 지난 뒤 장마전선의 형성 유무, 강수량, 한반도 부근 기상 상황 등을 분석해 정합니다.” 기상청 위험기상대응팀...
    2016-06-12 20:44
  • 울릉도 지하 50㎞에 폭 300㎞ 마그마 저수지
    활동 조짐을 보이는 백두산에 견줘 울릉도는 오래 전 ‘죽은’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울릉도 지하에 백두산에 견줄 만한 대규모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울릉도가 언제 ...
    2016-06-10 19:33
  • ‘인터스텔라’가 가능하려면
    ▶ 영화 <인터스텔라>는 인류의 새로운 이주지를 찾기 위한 우주여행이 줄거리다. 영화는 언제 현실이 될까? 지금 인류의 로켓 기술로는 화성까지는 8개월, 생명이 있을지도 모르는 목...
    2016-06-10 19:31
  • 해파리에 갇힌 물고기…재앙일까 안식일까
    호주 북쪽 바다에서 찍은 희귀한 순간 사방이 꽉 막혀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되면 어떤 느낌이 들까? 해파리에 안에 갇혀 버린 이 물고기가 이런 생각을 갖게 한다. 이 사진은 호주의 사...
    2016-06-10 09:15
  • 신고리 5·6호기 인구밀집지역 위치 제한 규정 위반 가능성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심의하고 있는 신고리 5·6호기 신규 건설 계획안이 “원전은 인구중심지로부터 30㎞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규정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16-06-09 14:48
  • 우주호텔 들어간 비행사들 “좀 추워요”
    “완전 새 것 같다. 근데 좀 춥다.” 우주비행사들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한 ‘우주호텔’ 입실에 마침내 성공했다. 첫 테이프를 끊은 주인공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제프...
    2016-06-08 10:45
  • 돌멩이에 ‘착’ 붙은 전자섬유…세제로 빨아도, 구겨도 ‘멀쩡’
    국내 연구진이 옷에 부착해 구기거나 세제에 빨아도 잘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전기적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는 유연한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인공섬모 구조로 이뤄져 면봉이나 돌멩이 등에도 ...
    2016-06-07 14:2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