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악성코드 퍼뜨리는 ‘점핑 유전자’도 쓸모 있다?
    밤하늘을 올려다본다. 무더위가 지난 요즘은 하늘이 좀 더 맑아졌는지 별들이 꽤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밤하늘의 어디를 바라보건 우리 눈에 더 많이 보이는 것은 작은 별빛의 배경이 되는 ...
    2013-09-24 18:44
  • 언어장벽이 빚은 웃지 못할 에피소드
    외국에서 유학하다 보면 언어장벽이 심각한 문제가 된다. 특히나 여러 사람이 팀워크를 이뤄 연구 일정을 착착 진행해야 하는 실험실 연구에선 더욱 그렇다. 여기에 더해 내게 특별한 문제가...
    2013-09-24 18:40
  • 임산부, 자장면·닭·오징어 먹어도 될까?
    “먹을 수 있는 게 없어!” 임부들의 푸념이다. 임신했다는 사실을 주위에 알리는 순간 임부는 수많은 속설을 듣게 된다. 특히 먹으면 안 되는 음식에 관한 얘기가 많다. 과거에는 대표적...
    2013-09-23 15:51
  • ‘굿닥터’ 천재적인 능력의 비밀은?
    최근 인기리에 방영중인 드라마 ‘굿닥터’에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을 가진 주인공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어린 시절 자폐 3급과 서번트 증후군 진단을 받았지만 천재적인 기억력과...
    2013-09-23 15:39
  • ‘달에 기지를…’ 다시 불 붙는 달 탐사 경쟁
    8월 한가위, 고개 들어 밤하늘의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날이다. 정월 대보름날까지 합쳐봐도 요즘 도시인들은 1년에 몇번이나 하늘을 쳐다볼까. 그 하늘 한가운데, 지구에서 38만4400㎞...
    2013-09-19 10:31
  • ‘호랑이는 풀을 뜯지 않는다’…‘속설’ 아닌 ‘유전자’에 새겨진 내용
    “흥미로운 건 호랑이가 아주 강한 육식성을 갖고 있다는 게 유전자 차원에서 확인됐다는 겁니다. 오로지 고기만 먹는 습성이 어떤 대사 차이를 불러일으키는지 여러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
    2013-09-18 09:32
  • 물 많고 바람 센 제주,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화수분’
    제주시에서 동쪽으로 30㎞ 떨어진 구좌읍 김녕리에는 각종 풍력발전기와 해수담수화 장치, 염분차 발전 실험실 등이 설치돼 있는 현대식 건물이 제주의 풍광과 어울려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
    2013-09-17 17:38
  • 도심속 바람길, 쾌적한 도시의 필수요소
    폭염이 기승 부리던 지난 8월 중순 울산의 한 자동기상관측기(AWS)가 40도를 넘기자 울산이 만년 1등 대구를 제치고 최고기온 기록 도시에 등극했다는 기사가 잇따랐다. 대구는 나무심기를 ...
    2013-09-17 17:36
  • 미래 산업, 이종간 융합이 대세
    2023년, 떠오르는 신생기업 (주)미래㏇의 면접시험은 상상을 초월한다. 제1차 면접은 ‘자신만의 요리’. 네 사람이 한 팀이 되어 시험장에 마련돼 있는 100여 가지의 재료를 가지고 자기 팀만...
    2013-09-16 15:37
  • 젖병·양말 항균하는 은나노 아주 작아도 인체에 ‘독성’
    국내 연구진이 화장품에서 양말, 아기 젖병에 이르기까지 항균제품에 널리 쓰이는 은 나노입자가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한 독성을 나타내며 뇌와 고환에서는 배출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호서대 나노융합기술학과 ...
    2013-09-11 20: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