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담대하거나 신중하거나…환경이 빚어낸 생존의 방식
    진화생태학자의 실험연구 주제와 심지어 사고방식은 어떤 생물을 대상으로 연구하느냐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오랫동안 야생 바닷새를 연구하다가 최근에 ‘큰가시고기’라는 물고기의 생태 ...
    2013-06-18 20:12
  • 자신만의 1000조각 퍼즐 풀기
    중학교 시절, 처음 망원경을 통해 본 목성과 토성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작고 초라했지만, 내가 느끼는 우주는 그 거리만큼 넓어졌다. 그날 이후 나는 부모님을...
    2013-06-18 20:10
  • 2023년, 원자력 발전의 대안은 ‘이것’?
    2013년 KISTI의 과학향기에서는 올 한 해 동안 매월 1편씩 [FUTURE]라는 주제로 미래기술을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칼럼에서 언급된 미래기술은 KISTI에서 발간한 <미래기술백서 ...
    2013-06-17 14:10
  • 실제로 만진 것 같은 ‘복합촉각 마우스’ 개발
    국내연구진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호수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마치 손가락을 물 속에 담근듯이 차갑고 출렁거리는 느낌을 전달해주는 복합촉각 마우스를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
    2013-06-12 16:54
  • 악어도 감전사시키는 전기어, 자신은 살아남는 비밀!
    여행은 즐겁다. 특히 낮에는 차가운 계곡물에서 놀아도 춥지 않을 만큼 기온이 올라가고, 밤에는 선선한 바람까지 부는 초여름의 글램핑(glamping, 고가의 장비나 고급 음식 등 다양한 호화 ...
    2013-06-12 12:00
  • 세계 최강 로봇은 ‘원전 폭발’ 막아낼 수 있을까
    2011년 후쿠시마원전 사고는 로봇과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 어느 재난구조 로봇도 무용지물이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기술자들이 사지로 들어가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다. 고개 숙인 과...
    2013-06-11 20:10
  • 4개 기단 틈바구니에 낀 ‘한반도 장마’
    지난달 30일 이후 대부분 지방에 이렇다 할 비 한번 오지 않고 불볕더위가 이어지다 12일 모처럼 전국에 단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때이른 무더위에 ‘차라리 장마라도 일찍 오지’ 하는 마음...
    2013-06-11 20:07
  • 바다 속 탐험이 가능해진것은 이분 덕분
    1943년 6월 프랑스 남부 지중해 도시 방돌의 바닷가에 희한한 차림의 남자가 등장했다. 기다란 오리발을 착용한 채 눈과 코를 한꺼번에 가리는 커다란 수경을 쓰고 등에는 쇳덩어리를 메고...
    2013-06-06 13:51
  • 국내 연구진, 나노입자 접착제로 투명 플라스틱 태양전지 제작
    국내 연구진이 무기물 나노입자를 이용해 투명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제작해 연구논문이 나노기술 분야 대표 학술지 <나노스케일> 6월호 표지로 실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2013-06-05 19:20
  • 돌진해오는 시속 80㎞ 축구공 헤딩…내 뇌는 괜찮을까
    축구는 200개 넘는 나라에서 250만명의 아마추어·프로 선수들이 즐기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운동이다. 규칙은 단순해도 화려한 발재간, 정교하고 절묘한 패스와 킥, 숨가쁜 공수의 팀...
    2013-06-05 17:0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