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400년 동안 500명 과학자들이 연구한 것이…
무려 80여 년 동안 진행된 실험장치의 결과에서 논문 1편을 낸 연구도 있고, 400년 넘게 수많은 참여자들이 참여해 관측자료를 쌓아온 연구도 있고…. 연구비 지원 기간 안에 연구성과와 논문...
2013-03-22 16:40
닳지 않는 귀금속 나노촉매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분자인식센터 우경자(사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21일 효능 손실 없이 반복 사용이 가능한 귀금속 나노촉매를 개발해 나노소재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밝혔...
2013-03-21 19:44
‘조금 많다 싶게 쓰세요’ 자외선차단제 사용법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보낸다’라는 속담이 있다. 혹한을 이겨낸 이후 맞는 봄볕은 그 무엇보다 따뜻한데, 속담대로라면 봄볕은 우리 몸에 좋지 않은 존재다. 그 이유는 바...
2013-03-20 20:43
후쿠시마 원전사고 영향 예측 ‘큰 편차’
“암 발생률 증가 거의 없어”
“암 환자 41만명 추가 발생”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영향으로 인한 암 발생 피해 예측이 분석기관에 따라 큰 편차를 보여 혼란을 주고 있는 가운데, 옛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영향으로 암 이외의 건강지표에서도 ...
2013-03-18 20:11
무지갯빛 액정레이저
국내 연구진이 하나의 레이저발진기로 여러가지 파장의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액정레이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최석원 경희대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송명훈 울산과학기술대(유니스...
2013-03-18 20:10
사흘에 한번꼴 ‘안개 낀 서울’ 건강 위협
서울에서는 근래 들어 사흘에 한번꼴로 연무 현상이 발생해 황사보다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해마다 발간하는 기상연보를 보면, 2008~2011년 4년 동안 서울에서 연무가 관측된 날짜는 모두 543일로 연평...
2013-03-18 20:09
봄철 잦은 산불, 10년 후엔 미리 예측한다?
2023년 3월 18일, 119구조대에 인공위성¹⁾으로부터 긴급 신호가 전달된다. 김대기 대원은 급히 위성신호를 받았다. “현재 포항 00동 부근에 산불로 예상되는 연기 발견!” 이란...
2013-03-18 11:14
고래뼈 녹여 먹는 좀비 벌레, 생식 방법도 특이
이빨은커녕 입도 없고 눈도 없지만 고래의 뼈를 녹여 그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는 심해 생물이 있다. ‘좀비 벌레’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생물은 2002년에야 처음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환형동...
2013-03-17 16:49
“원시새는 네개의 날개로 날았다”
중국 랴오닝성 백악기 전기 지층에서 다리깃털 달린 초기 새 화석 11개 제시 오랜 동안 가설과 상상그림으로 제시되던 ‘네 날개의 원시 새’가 중국 랴오닝성에서 발굴된 초기 새의 화석들...
2013-03-17 16:01
운석에서 외계 생명체 발견? 학계에선 시큰둥
2011년 혜성의 운석에서 생명체 화석이 발견됐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생물학자의 논문이 논란을 일으킨 데 이어, 스리랑카에서 수거된 운석에서 생명체 화석이 발견됐다는 영국 카...
2013-03-13 15:23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