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카이스트 “2031년까지 세계 10위권 대학 성장 도전” 선포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은 13일 오는 2031년 개교 60주년을 맞아 세계 10위권의 선도대학으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한 ‘카이스트 비전 2031’ 미래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신성철 ...
    2018-03-13 16:20
  • 천리안 위성 1호 임무 2020년까지 연장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 1호의 운영기간이 2020년까지 2년 연장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2011년 운영을 시작한 천리안 위성 1호의 정규 임무기간이 ...
    2018-03-13 12:00
  • 랩 위에 고감도 센서 장착 3D터치 키보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주방용 랩 위에 잘 휘어지는 고감도 투명 압력센서를 올려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3D 터치 키보드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신소재공학...
    2018-03-12 11:59
  • 손 맞잡은 한·중·일 전파망원경…허블이 울고 가네
    “우주의 구조와 생성에 관한 문제는 현대 과학의 중요 쟁점 가운데 하나입니다. 우리가 믿을 만한 우주의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오래된 우주의 상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보해야 ...
    2018-03-12 08:02
  • 단세포 박테리아의 현란한 바이러스 방어 전략
    지구상에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유기체로 단세포 미생물인 박테리아(세균)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방어 전쟁을 수십억년 동안 치르고 있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즉 박테리오파...
    2018-03-12 08:00
  • “화학물질 독성 예측기술로 동물실험 줄일 수 있죠”
    갖가지 화학물질과 관련한 안전사고가 자주 예민한 사회 문제가 되면서, 이를 관리하기 위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이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해마다 수백 ...
    2018-03-08 10:37
  • ‘거대 바이러스’, 생명 진화 수수께끼 열쇠일까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기에 세포 생물을 감염시킨 뒤 그 생명 시스템을 이용해 복제하고 증식한다. 또한 먹고 소화하며 대사 활동을 하는 생물과 달라, 바이러스는 생물계 바깥에 ...
    2018-03-06 15:25
  • ‘암 억제’하는 미생물도 사람 피부에 산다
    표피나 땀샘, 모낭에 사는 수많은 피부 미생물들 중에는 질병을 일으키거나 건강에 안 좋은 미생물들도 있지만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미생물들도 있다. 최근에 피부 미생물...
    2018-03-02 17:2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