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6차 대멸종 진행중” 역대 최다 과학자가 서명한 이 논문
    1992년 세계 유력 과학자들이 발표했던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의 업데이트판이 25년만에 나왔다. 과학자들은 온실가스 증가, 개간, 대...
    2017-11-14 01:32
  • 담배연기·공해 속 카드뮴에 노출되면 걸음걸이가 느려진다
    국내 연구진이 담배연기나 대기오염 등을 통해 핏속에 카드뮴이 많이 쌓이면 보행속도 등 운동기능을 감퇴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천대 최윤형 교수 연구팀은 13일 “50살 이상 미국...
    2017-11-13 12:04
  • 원자력이냐, 태양광이냐…발전단가 논란 해법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시민참여단에 참가했던 최찬웅(29)씨는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팩트체크 같은 것을 해주지 않아 답답했다. 양쪽에서 주장하는 사실 관계가 대립될 때...
    2017-11-13 08:00
  • 2020년 ‘총천연색 입체영상’으로 화성 표면 본다
    2020년의 화성 탐사는 생생하고 화려한 영상들로 장식될 듯하다.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은 2020년 화성 표면에서 탐사에 나설 로봇(로버)에 무려 23대의 카메라를 달아 훨씬 풍부한 3차원(3D...
    2017-11-13 08:00
  • 빛 반사 없어 ‘보이지 않는 유리판’
    위 사진에 둥근 유리판 2개가 손안에 놓여 있다. 오른쪽은 보통 유리판이다. 주변의 흰 물체를 반사해 그 존재를 금세 알려준다. 그런데 바로 옆의 왼쪽 유리판은 희미한 둘레 윤곽만 없다면...
    2017-11-12 15:34
  • 네이버와 구글은 비교 대상이 아니다
    얼마 전 국회에서 열린 일련의 국정감사는 ‘네이버 국감’이라고 할 정도로 온통 네이버 이야기로 가득 찼다. 10월30일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31일 열린 정무위원회 국감장에는 ...
    2017-11-11 21:12
  • AI는 인간을 미워할 수 있을까? 정재승 교수에게 물었다
    10월 27일, CJ문화재단에서 주관하는 신진 작가 기획개발 프로그램 스토리업(STORY UP) 특강의 첫 번째 시간으로,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의 ‘영화로 보는 인공지능’ 특강이 CGV용산 아이파크...
    2017-11-09 12:03
  • 비행기 창문에는 왜 작은 구멍이 뚫려 있을까
    항공 여객 연인원 1억명 시대다. 국토교통부 통계를 보면, 2016년 항공 여객 연인원은 1억391만명이었다. 단순 계산을 하면, 한국인 1인당 1년에 두 차례 비행기 여행을 떠난다는 얘기다. 그...
    2017-11-08 15:4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