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길이 1.75m…역대 최대 공룡 발자국 발견
    역대 가장 큰 공룡발자국이 호주 서부 해안지대에서 발견됐다. 호주 퀸즐랜드대 고생물학자 스티브 솔리스베리 교수팀이 최근 <척추동물 고생물학 저널>에 게재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
    2017-03-28 16:30
  • ‘SNS 스타’ 만들어주는 인공지능
    인공지능이 당신을 ‘에스엔에스(SNS) 스타'로 만들어준다면 어떨까? 사용자의 트위트를 분석해 버릇, 말투 등을 분석하고, 팔로어의 성향을 분석해 앞으로 쓸 내용을 제안하는 인공지능 ...
    2017-03-27 10:52
  • “이산화탄소 농도 2년 연속 3ppm 증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3ppm 이상 증가했다. 2ppm 이상 증가는 2012년부터 5년째 이어지고 있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24일 “하와이 마우나로아 대기관측...
    2017-03-27 10:52
  • 길을 찾는 동안 뇌 안에서 무슨 일이?
    [미래] 사이테크 브리핑 길을 찾는 동안 뇌 안에서 별개의 두 곳이 동시에 활동을 하는 것이 규명됐다. 영국 런던대학교(UCL)의 휴고 스피어스 박사와 동료는 24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런던...
    2017-03-27 10:52
  • 백화점에서 남자와 여자는 왜 다른 게 궁금할까
    쇼핑에 관한 잘 알려진 서양 유머 중 하나로 이런 게 있다. 남자는 꼭 필요한 1달러짜리 물건을 2달러에 사오고, 여성은 별로 필요하지 않는 2달러짜리 물건을 1달러에 사온다는 것. 언젠가 ...
    2017-03-25 10:52
  • 암은 운명? “환경·유전보다 우연히 걸릴 확률이 높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한국 사회지표’를 보면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 사망률이 10만명당 105.8명에 이른다. 보건복지부는 ‘암 예방의 날’인 21일 10대 국민암예방수칙 인...
    2017-03-24 03:00
  •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김재경 교수
    서울대 화학부 김성연(32)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수리과학과 김재경(35) 교수가 ‘노벨상 펀드’로 불리는 휴먼 프런티어 과학 프로그램(HFSP)의 ‘신진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에 선...
    2017-03-21 19:14
  • 암흑물질 새 후보 ‘비활성 중성미자’ 없는 곳 찾았다
    우주에는 우리가 보고 만질 수 있는 물질보다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는 암흑물질이 몇배 더 많다. 이른바 암흑물질로, 전파 ·적외선·가시광선·자외선·엑스선·감마선 등과 같은 전자기파로도 ...
    2017-03-21 12:0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