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31 07:10 수정 : 2006.03.31 07:10

과잉살포로 농경지 흡수 안되고 흘러
전국 51개 시·군 ‘질소 특별관리’ 대상

전국의 농경지에 뿌려진 화학비료와 축산분뇨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농작물에 쓰이지 않고 토양에 축적되거나 하천 등 환경으로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토양의 ‘영양과잉’ 상태는 하천·호수·바다 등 지표수와 지하수의 오염은 물론 토양산성화, 온실가스 방출 등 각종 환경문제의 근본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 박사팀은 최근 발간한 ‘지역단위 양분총량제 도입’에 관한 연구보고서에서 2004년 전국의 농경지 194만㏊에 뿌려진 양분의 양은 화학비료 69만t, 퇴비나 액비 형태의 가축분뇨 25만t 등 94만t인데, 이 가운데 51만t만이 작물에 흡수됐고 전체의 46%인 나머지 43만t은 토양 속에 남거나 빗물에 씻겨 환경오염을 일으켰다고 밝혔다.

이는 화학비료와 축산분뇨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한 때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최근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질소비료 사용량은 ㎢당 18.9㎏으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았다.

연구팀이 작물의 양분요구량과 비료 공급량의 차이를 집계한 결과 전국적으로 질소 공급량은 ㏊당 249.9㎏으로 작물 요구량 121.5㎏의 2배, 인산 공급량은 106.1㎏으로 작물 요구량 59.4㎏의 1.8배에 이르렀다.

지역별로는 질소의 경우 전북·충남·경기·강원 순으로 영양과잉 상태가 심했고, 인은 경기·강원·경북·전북 순으로 높았다. 이들은 축산과 고랭지 채소단지 등 집약농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농림부와 환경부는 전국 165개 시·군 가운데 86%인 142개 시·군이 질소과잉, 82%인 136개 시·군이 인산 과잉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김 박사팀은 전국 시·도의 31%인 51개 시·군에서 질소성분이 적정수준의 2.5배 이상인 ‘특별관리’ 대상인 것으로 추정했다.

김 박사는 “정부가 2013년까지 화학비료 사용량을 40% 줄이는 정책목표를 달성하더라도 질소성분 초과량이 ㏊당 52.1㎏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며 “화학비료 감축에 더해 가축분뇨 발생량을 적어도 15% 줄이고 지역의 환경용량 범위 안에서 양분이 공급되도록 양분총량제를 시급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