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16 18:09 수정 : 2005.02.16 18:09

에너지시민연대와 녹색연합 등 7개 환경단체가 16일 오전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에서 교토의정서 발효를 맞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저승사자가 기후변화로 고통받고 있는 투발루, 서사모아, 몰디브, 칠레, 방글라데시 국민 위에 군림하며 지구를 위협한다는 뜻의

■ 교토의정서 발효 기념 심포지엄

무방비땐 CO₂배출권 구입비용 천문학적
기업‘청정 생산방식’등 적극검토해야
“재생에너지 투자 경제기여”인식전환을

[3판]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첫 걸음인 교토의정서가 16일 발효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앙을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은 이제 지구촌의 공통 과제가 됐다. 과연 교토의정서는 우리에게 위협인가 아니면 새로운 기회인가? 의정서 발효를 기념해 이날 서울 한국언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환경재단 136포럼(공동대표 백낙청 시민방송 이사장) 주관으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참가자들은 이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박종식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소장은 ‘교토의정서 발효, 우리의 선택은’이란 발제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소장은 우리나라가 1차 의무감축 대상국에서 빠졌지만 일부 산업은 이미 ‘탄산가스와의 전쟁’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신규 등록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8년까지 1995년 대비 25% 줄이기로 했고, 한국자동차협회는 유럽연합과 자발적 협약을 맺어 2009년까지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행 ㎞당 186g에서 2009년까지 140g으로 줄이기로 했다. 온실가스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유럽에 자동차를 팔지 못하는 상황이 온 것이다. 또 반도체업계도 세계반도체협회와의 자발적 규제합의에 따라 2010년까지 온실가스인 불화탄소의 배출량을 97년 대비 10% 줄여야 한다.


박 소장은 “지난 30여년간의 압축성장 기간 동안 몸에 밴 에너지 과소비 성향을 극복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라며 “우리나라가 의무감축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2013년까지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문국현 유한킴벌리 대표이사는 ‘환경과 경제의 상생전략’이란 발제에서 “교토 의정서 체제에 대비해 기업이 환경설계와 청정기술을 적극 도입한다면 자원과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구체적인 전략으로 디지털화, 정보화, 비주얼화, 나노화, 개인화 등을 제시했다. 실제로 기존 날염공정을 청정생산 방식인 디지털 날염으로 바꾼 결과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98% 이상 절감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다양한 환경 편익을 주는 것은 물론 탄소 흡수원 노릇을 하는 산림 조림과 경영에 주목해야 한다”며 북한 황폐지 복구사업을 하면 90년 총 탄소 배출량을 웃도는 약 300만t의 탄소를 흡수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지 않는다면 시민단체가 앞장서 목표를 세워 정부와 기업을 이끌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필렬 에너지대안센터 대표(방송대 교수)는 ‘에너지 전환을 통한 기후보호전략’ 발제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을 늘리는 쪽으로 에너지 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발적으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며 재생가능 에너지 산업이 경제를 살린 덴마크와 독일의 사례를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의 풍력발전 국가인 독일에서 풍력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2002년 5만5천명에 이르렀고, 재생가능에너지 산업 전체 종사자는 15만명을 넘었다. 따라서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효율 향상 등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노력이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활성화 등 경제적으로 큰 이득을 가져다 준다고 그는 강조했다. 독일은 장기적으로 205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를 2000년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재생가능 에너지의 비중을 50%로 높여,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90년 수준의 80%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한편, 환경재단 136포럼은 이날 채택한 성명서에서 정부에게 “경제, 산업, 국토 및 환경계획을 이산화탄소 감축이라는 새로운 잣대로 검토하고 개혁하라”고 요구했다. 또 환경단체들에게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참여하면서 정부와 기업이 기후변화 대책에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감시와 협력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