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14 14:43 수정 : 2006.09.14 14:43

지난 집중호우 이후 지속되고 있는 소양호 흙탕물 사태가 소양강댐 등 대형댐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형지 한강수자원연구소 부소장은 14일 오후 춘천환경운동연합과 춘천경실련 등이 주최한 북한강 흙탕물 대책 토론회에서 '정책적 접근을 통한 소양호 흙탕물 저감 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호수 바닥의 물보다 가벼운 장마철에 유입된 미세한 흙탕물 입자는 호수 중간층에 머물다 소양댐의 중간에 위치한 방류구로 몇달씩 천천히 흘러 내려간다"며 "길어야 1주일이면 끝나던 소양강의 흙탕물이 소양강댐 건설 이후 몇달씩 계속되는 것은 소양강댐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부소장은 또 최근 공사 과정에서 붕괴 사고가 잇따르면서 부실시공 의혹과 안전성 문제마저 대두되고 있는 소양강댐 보조 여수로 공사가 집중호우로 인한 흙탕물 사태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보조 여수로 공사로 댐의 저수능력이 증대되면 수위 변화의 폭이 커질 수 있으며 장마철에 유입된 흙탕물의 저수량도 최대 약 3억톤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 부소장은 흙탕물 발생 저감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으로 다년생 산채, 과수 등의 나무를 비탈 경사면이나 농경지에 재배토록 하는 작부체계 변경, 한강수계기금 중 흙탕물저감사업비의 대폭적인 확보 등을 꼽았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원대 환경학과 김범철 교수, 안득기 춘천경실련 정책위원, 양한나 환경부 수질총량제도과 사무관, 김진영 수자원공사 소양강댐관리단 환경과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토론회 후 '북한강 흙탕물 저감대책수립을 위한 민관합동기구 설립 및 중앙정부 대책수립'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

박인영 기자 mong0716@yna.co.kr (춘천=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