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같은 농작물이 아닌 나뭇가지나 볏짚 등 버려지는 식물섬유에서 대체연료를 추출하는 ‘제 2세대 에탄올’ 개발 열기가 세계적으로 뜨겁다. 이 분야 선두주자인 바이오가솔의 개발 책임자가 아셈 환경장관회의 참가자들에게 나뭇조각에서 에탄올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
대체연료의 산실, 덴마크 ‘바이오가솔’ 가보니
나뭇조각·커피찌꺼기로 ‘2세대 바이오에탄올’ 생산곡식사용·산림벌채로 인한 온난화 가속 문제 비켜나
경제성 높고 친환경적…2010년부터 상업화 예정 볏짚에서 자동차 연료를 생산한다는 벤처기업 바이오가솔 공장에 들어서자 주정공장의 발효냄새가 났다. 무슨 냄새냐고 묻자, “돈 냄새”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지난달 26일 찾은 코펜하겐 근교 덴마크공대 구내에 위치한 이곳은 이른바 ‘제 2세대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세계 최초의 공장이다. 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풍력발전기에 이어 덴마크 정부가 유력한 차세대 환경산업으로 꼽고 있는 분야다. 이날 공장은 펠렛 형태의 나뭇조각을 원료로 에탄올을 만들고 있었다. 이 회사가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데 쓰는 원료목록에는 이밖에 볏짚, 밀집, 버드나무, 옥수숫대, 당분을 짜낸 사탕수수 깍지, 커피찌꺼기 등이 들어있다. 바이오에탄올은 석유의존을 줄일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디젤이 콩과 유채 등에서 짠 지방을 알코올과 결합시켜 만든 연료라면, 바이오에탄올은 사탕수수나 옥수수 등에서 얻은 당분을 발효시켜 얻은 에틸알코올(에탄올)로서 휘발유와 섞어서 쓴다. 현재 미국·브라질·중국 등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는 제 1세대 바이오에탄올은 원료로 곡물 등 농작물을 써, ‘곡식을 차 연료로 쓴다’는 윤리문제 뿐 아니라 원료작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산림벌채를 유발해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킨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실제로 제 3차 아셈환경장관회의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바이오연료가 환경에 끼치는 악영향을 우려하는 내용을 결의문에 포함시켰다. 유럽·미국·중국 등에서 최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제 2세대’ 바이오에탄올은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유기물인 식물섬유(셀룰로스)를 원료로 써 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
2세대 바이오에탄올 제조 공정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