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15 17:58 수정 : 2007.05.15 20:51

내설악 들머리인 백담대피소 근처 계곡에 나무탐방로를 짓기 위한 철골구조물이 들어서고 있다. 경관과 자연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윤영일 공주대 교수 제공

공원쪽 “안전시설”…시민단체선 “불필요”


내설악 계곡에 철골을 댄 나무탐방로를 설치하는 공사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요즘 백담대피소 인근 계곡에 나무탐방로를 짓기로 하고 기초가 될 철골구조물 설치 공사를 하고 있다. 지난해 집중호우 피해 복구작업의 하나다.

공원 쪽은 이 구조물이 탐방객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시설이라고 보는 반면 일부 전문가와 환경단체 등은 불필요하며 오히려 경관만 해친다고 맞서고 있다. 길이 9의 나무탐방로가 들어설 곳은 백담대피소에서 300m쯤 떨어진 계곡으로 등산로가 없어 등산객들이 하천변 바위로 다니는 지점이다.

목영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시설처장은 “비가 와 하천이 불어났을 때 하산하는 등산객과 봉정암에 다니는 신도들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윤영일 공주대 산림자원학과 교수는 최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구조물이 없어도 산행에 별 불편이 없는 곳인데다, 구조물이 내설악의 절경이 시작되는 곳에 들어서 미관을 해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인정한 설악산 국립공원에 이런 시설을 짓는 것은 “국제적 망신”이라고 비판했다. 연맹은 2005년 설악산을 기존의 ‘경관보호지역’(보호범주 4)에서 ‘원상보전을 위주로 하는 국립공원’(보호범주 2) 등급으로 상향 조정했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과 대한산악연맹 등도 11일 성명을 내어, “수해복구 공사를 즉각 중단하고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 의견을 수렴해 공사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단은 이런 문제제기에 대해 “인공탐방로의 높이 등은 조정할 수 있지만 공사 자체를 중단할 수는 없다”는 태도여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조홍섭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