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배출권의 종류
|
2012년 ‘배출권 거래시장’ 2조달러 성정 예측
EU·미 각축…전문가 “한국 발빠른 제도 정비를”
‘포스트 교도체제’를 향한 각국의 외교전 뒤에는 거대하게 열리고 있는 ‘탄소시장’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기후변화 관련 세계 외교전에서 현재 최대이슈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대립이다. 유럽연합은 기후변화협약 1차 이행시기에서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내세우며 주도권을 쥐었다. 미국은 ‘기술이전과 협력’을 기치로 내걸고 기후변화협약 무대에 복귀를 저울질 중이다. 부시 미 대통령은 지난 5월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85%를 차지하는 15개국으로만 이뤄지는 ‘15개국 회의’를 제안했다. 2002년 교도체제를 거부하고 뛰쳐나갔던 부시 대통령이 이렇게 돌아선 데는 정치적 고려도 있지만, 미국내 산업계의 압력 영향도 컸다.
■ 빽빽한 달력=지난 9일 주한 미대사관에선 백악관 제임스 코너턴 환경위 수석자문관과 폴라 도브리안스키 국무부 차관이 환경담당 기자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었다. 이들은 15개국 회의에 대한 설명을 위해 각국을 순회중이다. 15개국 회의에는 미국 주도로 3년 전 한국·일본·인도·중국·오스트레일리아 등 6개국이 만든 아·태기후변화파트너십(APP)의 경험이 적용될 예정이다. 에이피피 실무협의회(PIC)의 할란 왓슨 의장은 “교도체제가 기후변화 대응 위주라면, 에이피피는 에너지안보와 경제성장까지 고려하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을이후 달력을 보면 숨가쁘다. 먼저 9월 24~25일쯤 유엔 반기문 사무총장의 초청으로 뉴욕에서 전세계 장관급이상 회의가 열린다. 바로 이어 9월26~27일 미국은 워싱턴에서 15개국 회의를 제안해놓은 상태다. 10월쯤엔 인도 뉴델리에서 에피피 장관급회의가 열린다. 11월엔 제1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발리에서 예정돼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임재규 박사는 “한국도 빨리 내부적으로 각 부문별로 감축잠재량과 감내할 수 있는 비용들을 검토해 ‘의미있는 숫자’를 만들지 않으면 국제무대에서 비주류로 밀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 2조달러의 거대시장= 삼성지구환경연구소의 박찬우 책임연구원은 “2012년까지 세계 배출권거래 시장이 2조달러로 추산되고 갈수록 이 시장에 뛰어드는 리스크도 줄어들고 있다”며 “각국과 기업들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바로 상황변화를 감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교도체제는 각국의 의무감축을 돕기 위한 공동이행제도(JI), 청정개발체제(CDM), 배출권거래제도 등을 도입하며 탄소를 거래하는 시장메커니즘을 가동시켰다. 유럽연합은 최악의 경우 유럽연합만으로도 탄소시장이 굴러갈 수 있음을 참여자들에게 강조하며 투자를 독려 중이다. 암스테르담 유럽기후거래소를 비롯해 유럽에만 7곳의 거래소가 있다. 미국에서는 주정부들과 기업들 중심으로 온실가스 대응체제를 구축하며 ‘시카고기후거래소’(CCX)를 비롯한 자발적인 감축시장을 형성했다.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곧 등극하는 중국은 전세계 청정개발체제(CDM) 프로젝트 수행의 53%를 장악하며 ‘기후변화협약 최대수혜국’으로 떠올랐다.
국내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체제의 확산을 위한 탄소시장의 개장 필요성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의 노종환 기후변화대책실장은 “‘의무량 부과와 거래’가 아니라 ‘정책과 방법론’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필요성을 논의할 때 그 핵심은 시장메커니즘, 즉 탄소시장의 도입”이라며 “현재 한국이 자체적으로 에너지관리공단 온실가스 등록소에 등록했던 사업들을 시카고거래소에 거래되도록 하는 논의가 진행중”이라 전했다.
김영희 기자 dora@hani.co.kr
환경경영
|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노력에 대한 국제표준 지표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