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0.05 20:37 수정 : 2007.10.05 22:46

미호종개의 자연산란 행동. 호르몬 주사로 유도한 것으로 암컷을 수컷이 고리모양으로 감싸 수정한다.환경부 제공

방인철 교수팀, 인공증식 3천마리 풀어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454호인 미호종개가 미호천에 다시 돌아왔다. 처음 발견된 곳의 지명에서 이름을 딴 미꾸릿과의 민물고기 미호종개가 인공 증식돼 대량 방류된 것이다. 방인철 순천향대 해양생명공학과 교수팀은 5일 충북 음성군 미호천 지류인 초평천 상류에 인공으로 기른 미호종개 치어 3천여마리를 풀어놓았다. 이들은 인공부화 뒤 60일 동안 기른 4~5㎝ 크기로, 앞으로 1년6개월 성장하면 알을 낳을 수 있는 어미로 성장한다.

이 민물고기는 수질오염과 서식지 파괴로 급속히 줄어 2000년 이후 채집기록이 없다가 지난해 미호천의 다른 지류인 백곡천에서 대량 서식지가 발견됐지만 수해복구 공사로 또다시 사라졌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