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 두서면 복안리의 울주광산 광구 주변에 쌓여있는 폐광석 무더기. 모두 2만㎥가 쌓여있는 폐광석에서 중금속이 유출될 우려가 커 환경부가 우선복원 대상으로 지정했다. 환경부 제공.
|
폐금속광산 92% 토양·수질 오염기준치 초과
환경부 100곳 정밀조사
금, 은, 동, 아연, 납, 중석….
1970년대까지 전국에는 이런 금속을 채굴하기 위한 갱구가 5천 곳이 넘었다. 그러나 1980년대까지 광물의 품위가 떨어지고 채산성이 악화되면서 대부분 가동을 멈췄다. 선광 찌꺼기(광미)와 폐광석은 광산 주변에 야적하거나 방치됐다. 적절한 복구와 환경관리는 이뤄지지 않았다. 토양환경보전법은 1995년에야 제정됐다. 그 사이 광미와 폐석 속에 들어 있던 중금속은 갱내수와 빗물, 지하수에 씻겨 주변에 확산됐고, 마침내 농작물과 인체에까지 이르렀다.
환경부가 25일 발표한 폐금속 광산 주변 환경과 주민에 대한 첫 정밀조사 결과는 수십년 동안 진행된 광산오염이 매우 심각한 상태임을 보여줬다.
|
우선복원 대상 폐금속광산 23곳
|
이번에 조사한 100개 광산의 2㎞ 영향권 안에는 약 7만명이 거주한다. 특히 토양에서 기준치의 27배인 비소가 검출된 부산 사하구 괴정2동 부산광산의 영향권엔 1만7천명이 살고 있다. ■ 주민 건강영향 조사 결과=환경부는 지난해 주민의 건강피해가 우려되는 358개 폐금속 광산 주민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뒤, 오염수준이 높은 39곳을 우선 정밀조사 대상으로 뽑았다. 예비조사 결과 대부분의 폐금속 광산 주변 주민들의 중금속 오염수준이 생활 여건은 비슷하나 광산 영향이 없는 대조지역 주민보다 높게 나타났다. 환경부는 “폐광산이 주민의 중금속 노출에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1차로 9개 폐금속 광산 주민 1778명을 대상으로 정밀조사에서 혈액의 카드뮴, 오줌의 카드뮴과 비소가 대조지역보다 높았고 전체의 2%인 36명은 각종 국제기준을 초과해 ‘고위험자’로 분류됐다. 이희철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은 “고위험자는 지속적으로 조사·평가해 관리하겠다”며 “공해병의 자각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은 전혀 없으며 전체 주민의 건강 영향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광산 주변 농작물 일부에서 기준치를 넘는 납과 카드뮴이 검출됐다. 환경부는 “쌀과 옥수수 등 10개 농산물을 전면 조사해 기준을 넘기면 전량 수매해 폐기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