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력과 태양광이 강한 시간대가 다른 데 착안한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모습. 제주 월령 신재생에너지 시범단지에 설치됐다. 제주/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
‘에너지기본계획’ 긴급전검 - (하) 전략 없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안
에너지사업자에 의무할당생산비 높아 보급확대 쉽잖아 정부 관련기술 통합 조정
고효율 극대화 전략 빠져 정부가 지난 8월27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밝힌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방안은 ‘미완성’이다. 이 방안은 2030년 전체 에너지원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 목표치를 11%로 두고, 여기에 111조원 가량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얼개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해 국내 수요를 창출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큰 그림만 있을 뿐 구체적인 실행전략이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지식경제부는 신재생에너지 비중 목표치에 대해 “인구가 적고 에너지사용량이 적은 국가들이나 수력·산림 등의 자원이 풍부한 국가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이며, 인구와 국토 여건 등이 유사한 일본·영국 등과 비교해야 한다”며 “이 정도 목표면 선진국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정한 중국보다 낮은 목표치라는 비판에 대해, 정부는 중국의 경우 수력자원이 풍부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의 9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라고 반박한다. 하지만 지속발전가능위원회 자료를 보면, 중국은 2030년에 수력발전 비중을 37%까지 낮추고, 풍력과 태양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높였다. 신재생에너지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좀더 적극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투자를 해나가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홍준희 경원대 교수(전기정보공학)는 “신재생에너지 비중 11%는 매우 보수적인 목표치”라며 “불과 2~3년 전만 해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전문가들조차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였지만 발전속도는 예상보다 훨씬 빨랐다. 유럽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남들이 주저할 때 먼저 투자했기 때문이고, 이에 따라 시장지배력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
나라별 신재생에너지 비중 목표
|
|
에너지 매체별 주요 장단점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