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0.19 21:48
수정 : 2008.10.19 22:42
[지구촌 환경]
온실가스 감축 연기·거부 조짐
국제 기후변화 대응 협상을 이끌어 온 유엔 관계자들과 환경운동가들은 세계를 휩쓰는 금융위기를 지켜보면서 금융위기가 또 다른 환경위기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모든 나라의 정책과 재원이 금융위기 진화 쪽으로 집중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소홀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점차 현실화할 조짐이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 정상회의에서는 회원국들 사이에 기후변화 대응을 둘러싸고 심각한 의견 대립이 노출됐다.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 회원국들이 2020년까지 1990년도 기준 20%까지 온실가스를 줄이기로 한 유럽연합의 감축목표 실행 계획 작성을 늦출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경제위기로 상황이 달라져, 경제위기 극복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부담을 함께 짊어질 여력이 없어졌다는 것이 이유다. 서유럽 일부 나라도 가세했다. 이탈리아는 자국 기업들에 대한 보호 대책이 없으면, 감축계획을 거부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유럽연합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 청사진을 내놓지 못하면 2009년말 타결을 목표로 진행중인 국제 기후변화 협상에 먹구름이 드리워질 수 있다는 게 기후변화를 걱정하는 사람들의 우려다. 유럽연합은 지난해 이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미국은 물론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들에 온실가스 감축노력 동참을 요구해 왔다. 유럽연합이 스스로 약속한 목표를 달성할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국제 기후변화 협상에서 유럽연합의 주도력은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유럽연합 의장을 맡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유럽연합의 신뢰성이 위기에 처했다. 뒤돌아가서는 안되며 일정표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으나, 온실가스 감축으로 자국 경제가 피해를 입을 것을 우려하는 회원국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관련기사]
▶ “고분양가 인하” 중도금 납부 거부
▶ 남북관계 최악인데…국방장관 부적절 발언
▶ 교과부, 직접만든 교육과정 부정 ‘자기모순’
▶ 어려워도 지갑 열게하는 ‘불황기 마케팅’
▶ 남자여, ‘세컨드’가 되겠는가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