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밀라리아의 균사 모습. 균사가 모여 지상에 나타나면 버섯 형태를 띤다.
|
아밀라리아, 여의도 3배 크기…지구 밑은 ‘외계’
알려진 흙속 동물 5%뿐, 그나마 토양 65% 훼손
대왕고래(흰수염고래)는 지구에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 가장 크다. 길이 32m에 무게는 190t에 이른다. 그런데 이보다 더 큰 생물이 땅속에 산다.
한 개체인지 논란이 있긴 하지만, 2003년 미국 오리건 주에서 발견된 뿌리 썩음 균류인 아밀라리아는 여의도 면적의 약 3배인 8.9㎢의 걸쳐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이 2400살에 무게는 605t이었다.
내게도, 네게도, 나무에도 선충이…“이세상은 선충의 것”
동물과 식물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균류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중요한 땅속 생물이다. 곰팡이, 버섯, 효모가 대표적인 균류이다.
인류는 달 표면보다 바다에 관해 더 모른다. 땅속세계는 바다보다 더 낯설다. 흙속 동물 종의 5%만이, 바다 밑 침전층 동물의 0.1%만이 과학계에 밝혀져 있을 뿐이다. 이본느 배스킨은 <땅속 생태계>(최세민 옮김/창조문화/1만 8천 원)에서 “흙은 가난한 자의 열대우림”이라고 했다. 기름진 정원의 흙 한 삽에는 아마존 우림에 사는 생물종을 다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종이 산다는 것이다. 코넬대 생태학자 데이빗 피멘텔에 따르면, 비옥한 흙 1㏊(가로세로 100m)에는 지렁이와 절지동물 각 1000㎏, 원생동물 150㎏, 조류 150㎏, 박테리아 1700㎏, 균류 2700㎏가 들어있다. 워낙 작은 생물이라 마릿수가 아닌 무게를 따진 것이다. 다윈은 40년 동안이나 지렁이를 연구했다. 우리의 인식도 기껏 땅속의 거대 생물인 지렁이가 토양환경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 수준에 머문다. 권오길 강원대 명예교수는 <흙에도 뭇 생명이>(지성사/1만 3천 원)에서 은사인 고 최기철 박사의 동물분류학 수업시간을 회고했다. 교실에 서 있는 교수나 학생 몸속에 있는 기생충도 선충이고 나무마다 다른 선충이 사니, “이 세상은 선충의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땅 위의 호랑이처럼 선충은 땅속 세상의 포식자이다. 그런 선충이 목장 흙 1㎡에 1천만 마리가 산다. 광합성 없는 밤엔 토양 속 미생물이 오염물질 흡수
|
사람 몸의 기생충부터 썩은 사과 하나에 9만 마리나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다양하다.
|
|
땅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많은 토양생물이 살고 있다. 사진제공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