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22 19:23 수정 : 2010.04.22 19:23

낙동강 보 건설 예정지의 3월 부유물질 평균 농도

8개보 농도 1.5~3.6배↑
환경평가 ‘부실’ 의혹

‘4대강 살리기’ 준설공사로 말미암아 낙동강의 부유물질(흙탕물) 농도가 평소보다 3배 이상 치솟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부 지역의 경우 부유물질 농도가 환경영향평가에서 제시된 예측치를 넘어, 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상희 의원(민주당)은 22일 “최근 3년치 낙동강 수질측정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건설되는 8개 보 주변의 부유물질 농도가 평소 수준의 1.5~3.6배까지 상승했다”고 밝혔다.

상주보 하류의 상주2측정소에서는 2008년 5.4㎎/ℓ였던 부유물질 농도가 올해 19.4㎎/ℓ로 3.6배 늘었다. 강정보 인근의 달성측정소에서는 2008년 11.7㎎/ℓ에서 올해 24㎎/ℓ로 2배 이상 뛰었다. 달성보와 합천보가 건설되는 낙동강 하류 일부 구간은 이미 환경부의 부유물질 중권역 목표수질기준인 25㎎/ℓ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영향평가에서 오탁방지막 설치를 전제로 이뤄진 부유물질 농도 예측도 빗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칠곡보가 있는 왜관측정소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준설공사로 인해 평소 수준보다 3.5㎎/ℓ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3배가 많은 11.3㎎/ℓ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오염 저감 대책으로 제시했던 오탁방지막의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보 공사가 시작된 지 3개월 남짓밖에 안 됐는데도 이처럼 흙탕물 발생량이 많은 것은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잘못된 수치를 바탕으로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당장 공사를 중단하고 흙탕물 저감 대책에 대한 재협의를 하라”고 주장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