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가 2009년 작성한 국내 재생가능 에너지 잠재량 자료를 보면, 태양열은 8억7097만 석유환산t(석유 1t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태양광은 5억8531만 석유환산t의 기술적 잠재량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육상 풍력과 해상 풍력도 각각 1233만, 2202만 석유환산t의 기술적 잠재량을 갖고 있었다. 기술적 잠재량은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산출될 수 있는 최종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하지만 2008년 현재 재생에너지 생산량은 154만여 석유환산t으로 기술적 잠재량의 0.09%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8년 태양열과 태양광 생산량은 각각 2만8000(0.003%), 6만1000 석유환산t(0.01%) 수준에 그쳤으며, 육상 풍력 생산량은 9만4000 석유환산t(0.76%)에 불과했다. 해상 풍력은 아예 생산량이 없다. 박년배 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연구교수는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면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에너지의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국내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재훈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