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서천군 마산면 송림리 마을 앞에서 일몰 때 바라본 장항갯벌의 모습.
|
국립생태원 어떻게 만들어졌나
초등생 집단결석 등 주민과 마찰‘환경보존+지역개발’ 대안사업 제안
결국 산업단지 백지화 이끌어내 2006년 12월18일 충남 서천군 장항초등학교와 중앙초, 마동초 등 서천군 지역의 3개 초등학교 학생들이 집단으로 학교에 결석했다. 정부가 금강 하구 북쪽의 장항갯벌 374만평을 메워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한 개발계획 이행을 미루고 있는 데 대한 항의의 표시로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등교를 거부하고 나선 것이다. 나소열 서천군수와 군의원들은 이미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앞과 금강하굿둑에서 정부에 개발계획 이행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가 있었다. 1989년 함께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금강 맞은편의 전북 군산산단은 거의 완공 단계에 이른 반면, 장항산단은 착공조차 되지 않은 상황이 서천 주민들이 들고일어선 이유였다. 당시 주민들의 극단적인 항의를 무릅쓰고 장항산단 조성 사업에 제동을 건 것은 환경부였다. 참여정부 말기 장항산단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에서 환경부는 1년 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4대강 사업 환경영향평가를 할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환경부는 갯벌의 보존 가치를 내세우며, 산단 건설을 추진하려는 건설교통부가 제출한 환경영향평가 협의 요청을 거듭 반려했다. 반발하는 주민들을 위해 환경부를 중심으로 한 정부는 2007년 2월22일 장항산단 추진을 중단하는 대신 환경보전과 지역발전을 조화시킬 대안사업으로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성, 내륙 생태산업단지 건설 등을 제시했다. 갯벌 보전을 위해 이미 어업권 보상과 진입도로 건설 등에 3000억여원이 들어간 사업을 백지화하기로 한 것이다. 환경부는 그 뒤 3개월여 동안 끈질기게 주민들을 설득한 끝에 마침내 2007년 6월8일 서천군과 장항산단 대신 대안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표범장지뱀, 범게 등 멸종위기종과 수많은 동식물의 삶터인 장항갯벌이 사라질 위기에서 구제됐다. 장항갯벌은 매립될 운명에서는 벗어났지만, 금강하굿둑과 군산 앞바다 북쪽 도류제와 북방파제 등 시설물의 영향으로 생태계의 질은 계속 악화되고 있어 문제다. 서천군청 서천발전전략사업단 홍성갑 계장은 “정부가 갯벌 매립을 막은 것에 그치지 말고 보전을 위한 좀더 적극적인 후속 조처를 해야 한다. 금강하굿둑의 전면 개방이 어렵다면 부분적으로라도 열어주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천/글·사진 김정수 선임기자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