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 9월27일 경북 구미공단에서 발생한 불화수소 누출 사고 피해지역 주민들이 사고 뒤 공단에 마련된 임시진료소 앞에 길게 줄을 서 건강검진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구미/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알 권리 챙겨주는 ‘우리동네 위험 지도’
대기오염도는 동네별 서비스까지 하며
화학물질 공개는 시늉뿐인 정부 보란듯
시민단체들 성금 모아 위치 표시앱 제작
“기업눈치 그만 보고 공개 늘려라” 압박
인천시 전국 첫 ‘알권리 조례’ 제정 등
지역·주민 알권리 운동 성과도 조금씩
몇 해 전부터 사업장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잇따르면서 주변 공장들을 불안한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었다. 사고로 대피하는 주민들의 모습을 언론을 통해 지켜본 이들이 자기가 사는 곳이나 이사하려는 곳 근처에 누출사고 위험이 높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없는지 알고 싶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주민들이 이런 궁금증을 일부나마 풀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곳이 환경부의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 누리집(ncis.nier.go.kr/tri/)이다. 대중에게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취지로 하는 이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1996년 선진국들의 모임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려고 오이시디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이 관리하는 이 웹사이트에서 자기 주변에 어떤 유해화학물질이 있는지 알아내려면 상당한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우선 ‘배출·이동량 정보’ 메인 메뉴의 ‘통합검색’ 창을 열어 시·군·구 단위까지 지역을 설정하고 ‘검색’을 클릭한다. 그러면 해당 지역에 있는 업체들이 연간 일정량(물질별로 1t 또는 10t) 이상 취급하는 화학물질들의 이름과 이를 취급하는 업체 수가 표시된 창이 열린다. 창에서 업체 숫자를 선택하면 그 물질을 취급하는 업체의 이름과 주소가 나타난다. 자기 주변 일정 범위 안에서 취급되는 화학물질을 모두 알려면 물질별 취급 업체 숫자를 하나하나 눌러서 업체들의 주소를 확인하고, 인터넷 지도 사이트에서 위치를 찾아 자기 집과의 거리를 따져보는 수밖에 없다.
집 가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화학물질의 특성이 궁금하면 웹사이트 첫 화면으로 돌아가 화학물질정보 검색창에 물질 고유번호(CAS)나 국·영문 이름을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환경과학원의 화학물질 검색 전문 ‘화학물질정보 시스템’(ncis.nier.go.kr/ncis/Index)도 마찬가지다. 환경과학원이 운영하는 이들 웹사이트의 검색 기능은 비슷한 성격의 다른 웹사이트와 달리 이용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작은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다. 가령 ‘수산화 나트륨’을 ‘수산화나트륨’이라고 붙여서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없다’는 메시지를 내놓는다.
주변에 가족의 안전에 위협이 될 위험이 있는지 알기 위해 이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할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는 것이 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일과건강 등 2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의 대답이다.
이들이 지난 6일 공개한 ‘우리동네 위험지도’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무료앱을 스마트폰에 내려받아 실행하면 바로 폰에서 반경 5㎞ 범위 안의 유해화학물질 취급 업체 위치가 표시된 지도가 열린다. 컴퓨터를 켜고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 웹사이트에 접속한 뒤, 공장이 많은 지역일 경우 수십 분씩 씨름해야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앱을 열자마자 손바닥에 펼쳐지는 것이다. 500m·2㎞·5㎞ 반경에 따라 동심원의 색깔이 달라 자신이 있는 곳과의 대략적인 거리도 쉽게 알 수 있다. 위치 표시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에 업체 이름과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가 표시된다. 계속 따라가면 해당 물질의 위험 특성과 인체가 노출됐을 때의 증상은 물론 응급조처 방법까지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동네별 유해화학물질 위치 정보 앱이 나오기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지난해 말부터 준비한 앱 제작에는 아름다운재단 지원금과 앱 제작 취지에 공감한 시민 2657명의 온라인 성금을 합쳐 1000만원밖에 들지 않았다.
|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옥상에서 ‘우리동네 위험지도’ 앱을 실행했을 때의 스마트폰 첫 화면. 반경 5㎞ 안의 주요 유해화학물질 취급 업체가 표시된다. 김정수 선임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