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동해안 살던 잔가시고기가 어떻게 대구 금호강 갔나
    영화 <쉬리>처럼 소설 <가시고기>는 일반인은 거의 모르던 민물고기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다분히 의인화된 ‘자식을 향한 애틋한 부성애’ 말고 우리가 가시고기에 대해 ...
    2016-09-14 10:45
  • 물안경 쓰고 잠수하는 푸른 사냥꾼
    보석처럼 파란 깃털이 아름다운 물총새를 찾아 김포·양평·남양주·파주·춘천을 오갔다. 발품을 판 덕에 경기도 양평에선 둥지를 발견하기도 했다. 여기선 8월16일 춘천시 동내면 사암리 학곡...
    2016-09-14 10:35
  • 사자들의 파티, 코끼리를 베고 누운 ‘백수의 왕’
    나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와일드크루(WildCRU·야생보전연구팀)의 연구원으로 10년 가까이 일했다. 수천시간 동안이나 사자를 보는 건 특권이 아니었다. 그냥 내 일이었다! 이번에는 내 ...
    2016-08-29 14:15
  • [포토] 얼음치 방류
    “얼음치야, 잘 살아라”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회장 손영목)는 27일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금강 상류에서 1980년대 멸종한 서식지 복원을 위해 천연기념물 제259호인 얼음치(어름치)...
    2016-08-28 20:49
  • 멸종위기 백두산 호랑이 잇따라 발견
    북중 접경인 중국 지린(吉林)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琿春)에서 멸종위기에 있는 백두산 호랑이를 봤다는 목격담이 최근 잇달았다.  28일 중국 길림망과 연변뉴스망에 따르면 훈춘시 마...
    2016-08-28 10:59
  • 나는 이날 ‘곰돌이 푸’가 된 기분이었다
    [토요판] 르포 초보농부 최우리 기자의 ‘꿀 따는 날’ ▶ 방충복을 입으면 기분이 좋았습니다. 벌이랑 같이 있으면 굳이 말을 시작하지 않아도 돼 편안했거든요. 가을이 오면 도심에 벌...
    2016-08-26 19:01
  • 순천만 갈대뿌리 속 미생물서 뇌세포 염증억제 물질 발견
    순천만에 서식하는 갈대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에서 뇌신경 세포의 염증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5일 전남 순천만의 갈대뿌리 속에 서식하는 식물내...
    2016-08-25 13:43
  • 연분홍실잠자리 등 남방계열 잠자리류 중북부에서 잇따라 발견
    남부 지방 습지에 주로 분포해온 연분홍실잠자리를 비롯한 남방계열 잠자리류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중북부 지방까지 분포 지역을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5...
    2016-08-25 10:0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