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필진] 흑꼬리도요와 서산간척지
    흑꼬리도요는 몸길이 38센티미터 정도로 살색의 부리가 길고 직선이며, 부리 끝은 검다. 날 때는 흰색의 날개선과 허리가 뚜렷이 보인다. 흑꼬리도요라는 이름도 날 때 보이는 검은색의 ...
    2006-10-24 18:45
  • 어름치도 동강을 떠나는가
    생태계보전지역인 강원도 영월 동강에 서식하는 대표적 어종인 어름치(사진) 등 보호종 물고기들이 동강에서 사라지고 있다. 원주지방환경청이 지난달 펴낸 ‘강원지역 생태계 변화관찰 보...
    2006-10-20 19:21
  • 크릴, 마구잡이…남극 생태계 흔들릴라
    ‘미래 식량자원’으로 기대를 모으던 남극해 크릴의 남획이 새로운 지구환경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자원의 절대량은 많지만, 최근 연어양식장의 사료로 인기를 끌면서 대규모 공장식 ...
    2006-10-19 20:38
  • 천연기념물 ‘도로 횡사’ 무방비
    야생동물이 길을 건너던 중 차에 치여 죽는 ‘로드 킬’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1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이 지방환경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06-10-19 19:36
  • “이런 가뭄 10년만에 처음”
    전국적으로 가을 가뭄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19일 충북 보은군 수한면 후평리에서 김철종(52)씨가 메마른 무밭에 스프링클러를 돌려 지하수를 뿌리고 ...
    2006-10-19 19:35
  • 백사장 이러다 사라질라
    전국 백사장과 모래언덕의 절반 가까이에서 침식이 우려할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안도로와 제방 건설, 골재채취 등 바닷가의 무분별한 개발에 태풍 피해 등이 겹...
    2006-10-16 19:37
  • 가을가뭄…‘목마른 대지’
    가을 가뭄으로 농작물이 타들어가고 단풍도 본디 태깔을 잃어버렸다. 일부 지역에서는 먹을 물마저 모자라 비상급수를 받고 있으며, 모기·해충 따위가 기승을 부려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2006-10-13 20:07
  • [단독] 어린이 놀이터 방부목재서 독극물 ‘비소’ 새 나온다
    콘크리트나 플라스틱보다 친환경적 소재로 인식돼 최근 건축, 조경 등 야외시설에 사용이 늘고 있는 목재에서 치명적 독성을 지닌 중금속인 비소가 새어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비소...
    2006-10-13 07:4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