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화성호 ‘도요물떼새’ 천국
시화호에 이어 ‘화성호’(옛 ‘화옹호’)가 대륙간을 이동하는 도요 물떼새의 중간 기착지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화성환경운동연합’(상임대표 일화 스님) 시민생태조사단은 18일 도요 물떼새 이동시기에 맞춰 화성호 생태조...
2006-04-19 00:35
베이징에 황사 가루 30만t 내려앉았다
베이징에 황토가루가 눈처럼 내리고 있다. 지난 16~17일 신장위구르, 간쑤, 네이멍구, 베이징 등 중국 북부를 뒤덮은 황사는 19일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중국 기상당국이 밝혔다. 이번에 닥친 황사는 베이징과 톈진 등 대도시의 상...
2006-04-18 16:44
“‘시로미’ 법정 보호식물 지정해야”
한라산에 분포하는 '시로미 (E.nigrum L.japonicum K.Koch)'를 법정 보호식물로 지정.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라산연구소의 김찬수.한심희.고정군.변광옥 연구위원은 '한라산 고산식물 시로미의 분류 및 식물지리학...
2006-04-18 14:44
③ 한강다리 편히 걸을 수 있게 ‘사람길’ 넓히자
1900년 한강철교가 처음 세워진 뒤 1917년 한강에 두 번째로 놓인 ‘한강인도교’(현재의 한강대교)는 개통 초기 도성 안 사람들이 다리 구경을 올 정도로 명물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한강대교...
2006-04-18 08:00
한강다리 ‘보행 접근성’ 순위 광진교 ‘1등’…새행주대교 ‘꼴찌’
한강 다리를 건너는 길을 멀고도 험했다. 한강다리의 ‘보행 접근성’을 조사하기 위해 2차례 서울 한강의 23개 다리들을 건너봤다. 접근 편리성·안전성, 인도 너비·안전성·쾌적성 등 5가지...
2006-04-18 07:55
‘밤부터 황사’ 이런 점 유의해야
황사의 영향은 주로 미세먼지에 의해 노출돼 나타나는 먼지현상으로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황사입자의 크기는 주로 1∼10㎛(1㎛은 1백만분의 1m)이다. 황사입자가 호흡기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와 폐에 흡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
2006-04-18 00:26
18일 전국에 황사 날린다
16일 중국 내륙에서 발생한 황사가 18일 한반도 전역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이날 “지난 16일 중국 내몽골 주일화지방에 1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9538㎍/㎥까지 올라가는 등 강한 황사가 발생해 17일 오후 3...
2006-04-17 20:26
아파트 너머 갯벌·새들의 보고가…
르포/ 습지보호지역 지정된 한강 하구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부터 김포대교까지 자유로를 따라오면서 한강 쪽을 바라보면, 철책선 넘어 연초록빛 버드나무 숲과 갯벌이 강변에 ...
2006-04-16 18:50
환경운동연합 떠나 새 둥지 꾸린 중견 활동가 7인
“환경 현장·이론 결합해 새로 도전” 지난해 말 국내 환경단체의 맏형격인 환경운동연합을 떠났던 중견 환경운동가 7명이 26일 정식으로 ‘딴살림’을 차린다. 젊은 활동가들로부터 사무총장...
2006-04-16 18:27
[현장리포트] 한강 하구엔 초록보석이 있다/ 조홍섭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부터 김포대교까지 자유로를 따라오면서 한강쪽을 바라보면, 철책선 넘어 연초록빛 버드나무 숲과 갯벌이 강변에 기다랗게 이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하구...
2006-04-16 13:59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