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06 15:31 수정 : 2006.02.06 17:05

혈중카드뮴도 3배 이상…중국보다 높은 수준
정부 첫 채혈조사…도시.산단.농촌별 원인조사 착수

우리 국민의 혈중 수은농도가 미국과 독일에 비해 5-8배 높게 나타났다는 국내 첫 채혈 조사결과를 정부가 6일 공개함에 따라 혈중 중금속 `고농도' 원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혈중 수은 농도가 우리 국민들이 주로 섭취하는 음식물과 대기.수질 오염 등 환경 문제와 깊이 관련돼 있을 것으로 추정, 오염 배출원별 또는 지역별 정밀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혈중 수은 농도는 평균 4.34㎍/ℓ로 미국과 독일에 비해 5-8배 가량 높고 중국보다도 높은 수준이며 카드뮴 농도도 1.52㎍/ℓ로 역시 미국과 독일에 비해 3배 가량 높고 중국보다도 약간 높다.

수은 및 카드뮴 혈중 농도 조사 결과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일본의 경우 수은 농도가 18.2㎍/ℓ, 카드뮴 농도 2.1㎍/ℓ로 우리나라보다 최고 4배(수은) 이상 높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수질이나 대기 오염 상태가 더 나쁘다고 보기 는 어렵다는 현실 때문에 수은.카드뮴 `고농도'의 원인을 외부 환경 탓으로만 선뜻 규정하지는 못하고 있다.

우리 혈중 중금속 농도가 미국과 독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독일 인체모니터링위원회(CHBM)의 수은 권고치 15㎍/ℓ, 카드뮴의 경우 WHO 권고기준 5㎍/ℓ 등 국제 권고기준치보다는 낮다는 점에서 지금 당장 크게 위험하다고 볼수도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지난해 일부 전문가들은 참치 등 생선회가 `수은 중독'의 큰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한 적이 있어 `생선회를 많이 먹는' 식생활 문제가 주목을 끈 바 있다.

일본이 수은이나 카드뮴을 비롯, 심지어 납 혈중 농도(3.21㎍/ℓ)에서까지 우리 국민 혈중 농도 (2.66㎍/ℓ)보다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생선회'를 많이 먹는 식생활이 언뜻 `일리 있는' 요인으로 받아들여 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특정 음식물 등 식생활이 수은 등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뚜렷한 근거는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도시와 산업단지, 발전소 주변, 농촌 등 다양한 지역별로 원인 조사가 필요하고 어촌 또는 내륙 도시를 구분해 식생활 설문조사 등도 병행하는 등 다각적인 조사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은 농도의 경우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3대 중금속 혈중 농도가 대체로 연령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도시와 농촌 간에는 그다지 큰 격차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 내지 지역별로는 뚜렷한 의미를 찾기 어렵다는 얘기다.

단지 수은 농도가 큰 도로에서 얼마나 떨어져 사느냐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였다는 사실은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다.

큰 도로에서 301m 이상 떨어진 지역에 거주한 조사 대상자는 300m 이내 지역에 거주한 사람보다 혈중 수은 농도가 크게 낮다는 것이다.

큰 도로에서 50m 이내 사는 사람의 수은 농도는 4.55㎍/ℓ, 51-100m에 사는 사람은 4.15㎍/ℓ, 101-300m 사람은 4.54㎍/ℓ로 나타난 반면 301m 이상 떨어져 사는 사람은 3.84㎍/ℓ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은 농도가 역시 대기 오염 등 주변 환경과 크게 관련이 있지 않겠느냐고 추정해 볼수 있는 조사 결과다.

특히 철공작업이나 자동차 수리, 페인트 작업 등 직업적 경험을 가진 조사대상자의 수은 농도가 4.88-5.53㎍/ℓ으로 무경험자 수은 농도 4.30-4.33㎍/ℓ에 비해 상당히 높다.

철공작업 경험자의 경우 수은 농도가 5.53㎍/ℓ로 무경험자 4.30㎍/ℓ에 비해 차이가 가장 컸고 혈중 납 농도도 철공 작업 등 유경험자가 2.91-3.24㎍/㎗로 무경험자 2.63-2.65㎍/㎗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조사 대상자 2천명 중 수은 농도가 평균은 물론 국제권고치 15㎍/ℓ를 넘어선 사람이 33명에 이르고 개인적으로 최고 55.94㎍/ℓ의 농도를 보인 `위험한' 사례도 있어 개별적인 역학 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농도 조사 결과를 개인적으로 통보해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우선 이번 평균 중금속 농도 결과를 토대로 3년마다 지속적인 조사를 벌여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원인을 찾는 게 급하다"고 설명했다.

김성용 기자 ksy@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