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취학 석달 돼도 학교 부적응 땐 전문가 찾아 진단·치료받아야 홍 교수는 “어떤 아이들은 스스럼없이 낯선 사람을 사귀고 자기 의견을 말하지만, 어떤 아이들에게는 매우 힘든 일일 수 있다”면서 “아이들의 특성을 존중하지 않고 겁이 많고 수줍은 성격이 정반대로 바뀌기를 바라는 것은 부모의 지나친 욕심”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또 “친구들과 처음 사귀는 과정을 부담스러워하는 아이들의 경우 자연스럽게 친구들을 만날 수 있게 하든지, 친구들을 집에 오게 하며 조금씩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유 교수는 “취학한지 3개월이 지나도록 학교생활 적응에 계속적인 문제를 보인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면서 “적응장애의 상당수는 우울증이나 왕따와 같은 정서 및 환경적인 문제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습장애 홍 교수는 “인지발달의 정도는 아이들마다 차이가 크다”면서 “부모가 볼 때 아이가 이해력과 학습능력이 떨어진다고 느껴진다면 전문가의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습 부진은 실제로 아이의 인지능력이 떨어질 경우 뿐만 아니라 아이는 정상적인 범위이지만 부모의 지나친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거나, 학습에 대한 아이의 동기나 흥미가 없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능은 괜찮지만 특정 읽기나, 쓰기 능력에 문제가 있는 학습장애 일수도 있다. 유 교수는 “대부분의 학습 문제는 학습이 본격화되고, 요구되는 학습 수준이나 양이 증가하는 새 학년 새 학기에 발생하기 시작한다”며 “부모나 교사들은 아동의 학습 문제가 어떤 원인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동의 인지적인 능력 수준은 어떤 상태인지를 잘 파악해 개별적, 체계적으로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능이 정상 수준에 약간 못미치는 ‘경계성 지능’을 보유한 아동의 경우 학습을 본격적으로 하지 않는 유치원 시절에는 잘 몰랐다가, 취학 뒤에 학습 문제나 적응 문제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이런 아동에게는 정확한 지능검사 및 학습능력 평가를 통해 능력에 맞는 교육적인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틱장애 눈을 깜빡거리거나 어깨나 목을 움직이는 행동, “킁킁”하는 소리나 목을 가다듬는 소리가 갑자기 나타날 때, 이를 ‘틱 증상’이라고 한다. 틱 증상은 컴퓨터에 빠져 흥분하거나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황에서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은 진학 초기에도 틱 증상이 악화되기 쉽상이다. 또 틱은 지적을 받게 되면 더 악화되는 특성이 있는데, 취학한 학교의 새 친구들과 선생님들은 이런 특성을 모른채 틱을 놀리거나 지적하게 되어 증상의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유 교수는 “틱은 대부분 신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다”며 “하지만 증상이 심하여 당사자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다른 사람에게 잦은 눈총과 지적을 받을 정도가 되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왕따 홍 교수는 “왕따가 제일 심한 나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이 아니라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교 시기”라며 “소심한 아이일지라도 친구들과 사귀게 되면서 점점 변할 뿐만 아니라 저학년 때에는 왕따의 정도나 빈도가 후유증을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고 대부분 일시적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