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이 피부암 될 수도 있다고요? |
한국인 ‘피부암’ 인지도 외국인 절반 수준
최근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 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적으로 피부암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피부암에 대한 인식도는 외국인에 비해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 피부과 이일수·김원석 교수팀은 최근 한국인 1091명과 외국인 113명을 대상으로 피부암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인은 21점 만점 기준으로 5.9점에 그쳤으나 외국인은 2배 높은 11.6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 설문조사 항목들을 보면 △일광욕은 한국인 23.4%, 외국인 74.3%가 유익하지 않다고 대답했고 △점의 피부암 발전 가능성에 대해 한국인은 21%, 외국인은 76%가 인지하고 있으며 △정기 자가 피부검진 여부에 대해 한국인은 5%, 외국인은 52%가 실시하고 있었고 △피부암 전구증상에 대해 한국인은 7%, 외국인은 51%가 알고 있었다.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여부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경우 64%와 외국인의 82%가 사용중이라고 밝혀 다른 항목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이유에 대해 한국인들은 절대다수인 80%가 피부암 예방이 아닌 기미, 주근깨 방지 등의 피부미용 효과에 대한 기대 때문인 것으로 밝혔다. 김원석 교수는 “야외활동이 잦아지는 요즘, 햇볕의 자외선에 과다노출되는 것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성 질환, 굵고 깊은 주름, 거친 피부와 같은 광노화성 피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피부암 발생 원인이 된다”면서 “피부암은 간단한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초기 피부암은 바르는 약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며 피부암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