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02 18:13 수정 : 2007.07.02 18:13

전상일의 건강이야기

전상일의 건강이야기 /

밥솥을 불에 올려놓은 채 집안에서 잠자던 주부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경찰은 밥이 타면서 생긴 연기가 집에 자욱했던 점으로 미뤄 이 여성이 질식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매우 드문 일이지만, 음식 연기가 사람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끼칠 수 있음을 잘 보여준 사례다.

음식을 조리할 때 생기는 연기에는 두통,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이 포함돼 있다. 특히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구울 때 생기는 연기에는 발암물질이 다량 들어 있다. 1986년 이후 대만과 중국에서 여성 암 사망률 1위는 줄곧 폐암이 차지했는데, 학자들은 튀김음식이 많은 이 지역의 식습관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대만, 중국, 홍콩, 싱가포르에 사는 중국계 비흡연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름에 튀기는 음식을 조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여성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폐암에 2~4배 많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튀김 연기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발암물질 가운데는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가 가장 유력한 ‘용의자’다. 이 물질은 세포에 해로운 활성 산소의 양을 늘리고, 유전자 손상을 가져와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돼 있다.

생선을 튀길 때 생기는 휘발성 알데히드 물질도 암 발생을 부추긴다. 또 기름 연기는 폐 조직의 면역기능을 떨어뜨려 여러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도 크게 한다. 붉은색 육류를 기름에 튀길 때 생기는 연기에는 상당량의 콜레스테롤 성분도 들어 있다. 육류를 직접 섭취하지 않더라도 연기를 통해 콜레스테롤이 몸 안에 들어올 수 있다는 얘기다. 기름 연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기름의 종류와 상관이 없다.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올리브기름의 연기도 해롭기는 마찬가지다.

이런 음식 연기의 피해를 줄이려면 음식을 조리할 때 반드시 환기 장치를 쓰도록 하고, 창문을 열어 놓아야 한다. 조리 뒤에도 한동안 환기시설을 작동하고 창문을 열어 둬 공기 중에 남아 있는 유해물질이 완전히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야 한다. 아예 음식을 튀기거나 굽기보다는 찌거나 삶는 방식으로 요리 습관을 바꾸는 것도 생각해볼 일이다. 특히 어린이가 실내에 있으면 튀김 요리를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 어린이는 기름 연기에 든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능력이 어른보다 떨어져 더 큰 피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5년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여성 암 사망률에서 폐암이 2위를 차지했다. 중국계 여성들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비흡연 여성이 음식 조리 연기로 폐암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환경보건학 박사·한국환경건강연구소 소장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