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냥·손가락으로 부비지 말고
염증 잦은 이는 물놀이 삼가야
편도선 잘 부으면 중이염 위험
물놀이를 빼놓을 수 없는 계절인 여름에는 무엇보다도 귀 건강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영장이나 바다, 강 등에서 물놀이를 즐기다 보면 자연스레 귀 안에 물이 들어가게 되고, 이를 빼내려고 손가락 등으로 후비면 외이도염이 생기거나 드물게는 중이염까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들은 면역 기능이 떨어져 염증이 더 잘 생길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의 도움말로 여름철 물놀이로부터 귀를 보호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 귀에 물 들어가서 문제되는 경우는 드물어 흔히들 귀에 물이 들어가서 외이도염과 같은 염증이 생겼다고 생각하나, 실제로는 귀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면 물이 들어간 것 자체가 염증의 원인이 되는 사례는 드물다. 염증까지 생겨난 경우는 대부분 귀에 물이 들어간 뒤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이를 닦아 내거나 후빌 때다. 특히 귀지가 차 있는 상태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귀에 물이 들어가 귀지가 물에 불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귀가 갑자기 멍해지거나 간지럼증을 느끼게 돼 귓속을 무리하게 닦아내기 쉽기 때문이다. 이때 성냥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해 귀를 후벼서는 안 되며, 면봉도 너무 세게 문지르면 외이도의 피부를 벗겨낼 수 있다.
보통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는 물이 들어간 귀를 아래로 하고 고개를 흔들면 물이 쉽게 빠져 나간다. 이런 방법이 효과가 없을 때는 미지근하고 깨끗한 물로 귀를 살짝 씻은 뒤 면봉으로 습기만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귀를 말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고막천공이나 염증 자주 있었다면 되도록 물놀이 삼가야 물놀이를 하다가 귀로 물이 들어갔어도 대부분 아무런 문제 없이 나오지만, 과거에 고막을 다쳤거나 중이염이나 외이도염이 자주 생기는 사람은 염증이 쉽게 생길 수 있다. 특히 수영장 물 표면에 많이 존재하며 소독약인 염소에도 쉽게 죽지 않는 녹농균에 대한 주의보나 검출 소식이 있으면 더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 균에 감염되면 귀속의 통증과 가려움이 생겨나고 드물게는 고름 등이 생겨나는 심한 염증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귀에 잦은 염증이 있었던 사람들은 되도록 물놀이를 삼가고, 물놀이를 할 때에도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귀마개 등을 하는 것이 좋다. 또 물놀이는 한다고 해도 되도록 깨끗하게 소독이 이뤄진 곳을 찾아 다른 세균에 감염될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
■ 귀에 이물 들어갔다면 병원 찾는 것이 안전 종종 귀에 개미와 같은 곤충이나 콩, 작은 구슬 등과 같은 이물이 들어갈 때가 있다. 살아 있는 곤충은 귀에서 잡음이 심하게 들리고 곤충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공포감을 느끼기도 한다. 아이들은 호기심으로 귀에 콩 등을 집어넣을 수 있다. 말을 못하는 아이들은 귀만 만지작거리면서 울음으로 불편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때 이런 이물을 무리하게 빼내려 한다면 귀 안의 피부를 다치기만 할 뿐 제대로 빠져 나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외이도의 구조는 복잡하고 피부가 연약해 무리하게 빼내려고 시도하다가는 피부가 쉽게 부풀어 올라 자칫 염증만 생기거나 드물게는 고막을 다칠 수도 있다. 때문에 이때는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찾는 것이 안전하다.
■ 여름철 잦은 감기에도 중이염 주의해야 냉방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 곳에 오래 있거나, 종종 새벽 기온이 낮은 날에는 여름에도 감기에 흔히 걸릴 수 있다. 물론 감기에 모두 다 중이염의 가능성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감염에 대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 가운데 감기에 걸렸을 때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가 잘 붓는다면 중이염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중이염이 생겼는지 잘 몰라 치료하지 않아서 염증이 심해지면 귀에서 고름이 나올 수 있고, 드물게는 청력 장애가 오기도 하므로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말을 잘 못하는 어린 아이는 감기가 걸린 뒤 울면서 귀를 만지기만 할 때도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다행히 급성 중이염은 충분한 휴식을 가지면서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쓰면 대부분 좋아진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조진생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임기정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장희상 대전선병원 이비인후과 과장
[한겨레 관련기사] ▶이상득 의원 벌컥 고함…국회 본회의장 ‘술렁’
▶“교육환경 나빠지니 강남에 임대주택 건축 재고”
▶‘보도유예’ 폭로한 ‘코리아타임스’에 청와대 외압 논란
▶금융공기업 CEO·감사 영남출신이 73%
▶김경한 법무 “사이버모욕죄 신설 검토”
기사공유하기